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4.30. (수)

경제/기업

美 관세충격에…내년 매출 韓 -4.0%, 中 -6.7%, 日 -7.2%

정부에 세금감면, 재정·보조금 지원, 외교적 노력 요청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한국과 중국, 일본 제조기업의 내년 매출이 4~7% 가량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3개국 매출액 1천대 제조기업 303곳을 대상으로 ‘美 관세정책 등에 관한 한·중·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국의 품목별‧상호 관세 조치가 본격화하면 내년 매출액은 평균 4~7%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30일 밝혔다. 

 

 

내년 매출 감소 예상치는 한국 기업 -4.0%, 중국 기업 -6.7%, 일본 기업 -7.2%로 나타났다.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반도체‧전자, 자동차‧자동차부품, 기계 및 산업장비, 철강 및 금속제품 등 주력 수출업종에서 5~10% 이상 매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국은 기계 및 산업장비가 -12.2%, 중국은 철강 및 금속제품이 -11.7%,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이 -10.4%로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3개국 평균에서는 철강 및 금속제품이 가장 큰 하락 폭(-10.3%)을 보였다.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한 정책에 대응한 투자계획의 조정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은 ‘투자계획에 변경이 없다(74.3%)’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일본 기업 또한 61.4%가 ‘변경 없음’이라 답했다. 한편 중국 기업은 ‘변경 없음(38.6%)’ 다음으로 ‘투자 확대(28.7%)’ 응답이 많았다.

 

미국이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한‧중‧일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보다는 원가·비용 절감을 우선 대응전략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대응전략과 관련해, 한국 기업 46.0%, 중국 기업 61.0%, 일본 기업 41.0%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꼽아 세 나라 모두 해당 항목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는 한국 기업 11.0%, 중국 기업 17.0%, 일본 기업 21.0%로 일본 기업들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미국의 관세 리스크로 인한 대외여건 및 경영환경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한·중·일 기업들은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우선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정부에 ▶세금 감면(한 58.0%, 일 41.0%) ▶재정 또는 보조금 지원(한 58.0%, 일 39.0%)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한 46.0%, 일 58.0%) 등을 희망했다.

 

반면, 중국 기업은 이와 다르게 ▶신시장 개척 지원(60.0%) ▶관세 감축 외교 노력(58.0%) ▶국내 산업 투자(47.0%)와 관련한 정부 역할을 주문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