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중동 등 해외 건설 붐을 타고 국내 기술자 및 주재원들의 해외진출 러시와 함께 해외동포의 활발한 모국방문, 해외 유학생들의 증가와 맥을 같이 한다.
지금도 시행되고 있지만 외국에 나가 2년 동안 거주하고 귀국할 경우 쓰던 물품에 대해 면세를 해 주는 제도를 악용해 당시 인기있던 외제 가전제품 오디오 컬러TV 비디오 골프채 등을 이사화물로 위장, 반입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이 같은 위장반입은 높은 관세율과 국내의 비관세 장벽으로 인해 사실상 수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일부 밀수업자들은 이들 유학생, 기업체 파견자, 해외 주재원 등의 신상을 파악, 명단을 따로 작성해 두고 접근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들은 자기들 대신 통관해 주면 충분한 대가를 지불하겠다고 부탁 또는 협박을 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위장하는 방법도 치밀해 쓰던 물품처럼 보이려고 제품 카탈로그를 빼내는가 하면 전자제품 종이박스에 고의로 낙서를 하거나 낡은 것처럼 위장하기도 했다. 또 가전제품 손상 방지용 스티로폴을 깨진 것으로 바꿔치기도 했다. 심지어는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를 시멘트 바닥에 긁어 쓰던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경우도 가끔 있었으며 제품을 샀던 영수증의 구입일자를 속여 들여오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유학생들 가운데 일부는 공부를 하러 간 것인지 물건을 사러 간 것인지 의구심이 들 정도로 많은 이삿짐을 갖고 들어와 세관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했다.
이사화물은 쓰던 물품들에 한해 품목당 한 개씩 면세를 해 줬으나 친구나 인척들의 부탁을 받고 냉장고와 TV 등을 3~4개씩 가져와 통관보류돼 반송하는 경우도 있었고 일부는 높은 관세를 물고 통관해 가는 경우도 있었다.
80년대에 일부 세관원들의 경우에도 인사이동시 무환과에 가려고 아는 인맥을 동원, 인사청탁을 하기도 했으며 이사화물 화주들은 각종 학연 및 인맥을 통해 세관에 압력을 넣어 세금을 물지 않게 해 달라고 부탁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결국 일본 강제송환자의 이사화물 가운데 신품은 일체 통관을 불허한다는 요지의 예규가 제정되기에 이르렀으나 각 권력기관의 압력과 이사화물 화주들의 저항으로 인해 완전히 근절되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