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세무역개발원, '관세무역연구' 춘계 학술세미나 개최
"트럼프 2기, 국가별 무역구조 근본적으로 바꿀 듯…정책 불확실성 낮춰야"

한국관세무역개발원(회장·이종우)이 지난 4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2025년 관세무역연구 춘계학술세미나’를 열고, 최근 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 속에서 전략적 대응 모색에 나섰다.
이번 세미나는 ‘관세무역연구’ 창간 1주년을 기념해 마련됐으며, 산업·학계·정책 전문가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통상 질서 변화와 대응 방향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이종우 회장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창간한 관세무역연구의 성장을 발판으로 공익적 연구기관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복잡하게 얽힌 통상 환경 속에서 실질적 해법을 함께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세미나에선 기조연설과 2개 세션, 종합토론이 진행돼, 기조연설에 나선 UNIST 조원경 교수는 “트럼프 2.0 시대는 공급망 재편과 미국 제조업 부활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며, “반사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1세션에서는 무역안보관리원 채수홍 정책협력실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안보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채 실장은 미중 간 수출통제 조치를 분석하고, 반도체·핵심광물 등 통제 범위 확대, Entity List 운영방식 변화, 처벌기준 강화 등 미국 경제안보 정책의 방향을 설명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기술 우위를 지키기 위한 전략물자 이전 차단에 주력할 것”임을 전망하며, 국내 기업의 공급망 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2세션에서는 부경대학교 유정호 교수가 ‘미국발 보편·상호관세의 경제적 영향’을 발표했다.
유 교수는 GTAP CGE 모형 분석을 바탕으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소비자 부담 증가와 글로벌 교역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차등적 관세 부과는 국가별 무역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에 따라 미국과의 조속한 협상과 국내 정책 불확실성을 낮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한국관세무역개발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정책과 현장을 연결하는 실질적 연구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계기였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관세·무역·물류 전반의 주요 이슈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공익 연구기관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