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역 공공기관 및 기관단체에서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하고, 홍보활동을 펴는 등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에 팔을 걷어 부치면서 재래시장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
매년 명절을 앞두고 벌어지고 있는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 행사의 모습이다. 지속성 ·진정성을 담지 않는다면 자칫 변죽만 울리는 보여주기식에 그쳐 상인들의 사기저하로 이어질 것은 자명한 일이다.
대구시는 21일부터 오는 2월 17일까지를 ‘온누리상품권 구매 촉진 및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 기간’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홍보활동에 나섰다.
구매 촉진행사를 통해 전국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 5억원,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은행, 대구경북슈퍼마켓유통연합회 각각 2억원, 대구종합유통단지관리공단, 한국가스공사가 각각 1억원,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구경북지회, 대구시 여성단체협의회, 한국프랜차이즈협회대구경북지회가 각각 5천만원, 대구공무원노조가 10억원을 약정할 계획이다.
이처럼 재래시장을 살리겠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는 ‘명암’이 교차한다. 전통시장 상품이 저렴하지만 사람들의 발길은 여전히 대형마트를 향한다.
그동안 시설 현대화와 접근성 제고, 고객편의를 위한 서비스 개선 등 전통시장의 자구 노력과 의무휴업일 지정 등 대형마트 규제, 지자체 차원의 경제 활성화 대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특화된 경쟁력 없이는 전통시장의 홀로서기는 어렵다.
정부부처 및 자치단체, 대기업이 명절 시기에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상품권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지만, 이때만 상품권 이용이 ‘반짝’ 증가한다는 지적이다. 추석이나 설 등 명절에 상품권이 시장에 풀렸다가 명절이 끝나면 상품권 이용이 확 줄어드는 ‘쏠림’현상을 해결해야 한다.
또한 대형마트에 비해 마케팅이나 자금 조달 여력이 뒤쳐질 수밖에 없는 전통시장이 온라인 쇼핑몰 개척, 특화 상품 개발, 품질 혁신 등에 힘쓸 수 있도록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재래시장이 살아나면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반을 이루고 서민경제에도 큰 도움이 된다. 전통시장 ‘장보기’가 전시행정이 아닌 연중 소비자와 함께 호흡하는 전통시장 ‘잘보기’로 거듭나야만 하는 이유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해 12월 전국 처음으로 ‘전통시장 특별위원회’를 신설해 운영 중이다.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대구시·시의회·대구상공회의소·소상공인진흥공단·전통시장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로 꾸려진 특별위원회.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묘책과 변화의 물꼬를 트는 첫 시험대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