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7.04. (금)

금품·향응에서 자유로운 국세청이 되길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9일 발표한 '2011년도 부패인식․경험 조사'에서 기업인들은 금품·향응 제공경험이 가장 많은 업무로 '세무' 업무를 꼽았다.

 

또 기업인들은 '원만한 관계 유지를 위해'(34%) 금품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기업인들이 사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세무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에 금품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기업인들은 세무조사라는 '칼'을 휘두르는 국세공무원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이후 미칠 '악영향'에 대비하고 있다는 얘기다.

 

국세청이 자체적으로 청렴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는 등 비위행위 척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국세청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업으로부터 세금을 걷어 국가 재정을 튼튼히 함으로써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국세공무원들이 기업인들과 모종의 뒷거래를 하고, 탈세를 눈감아 주지는 않나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某 포털사이트에 국세청을 검색하면 향응, 금품, 뇌물, 비리 등의 연관 검색어가 여전히 오르고 있다.

 

그만큼 국민들은 향응, 뇌물 등의 단어를 국세청과 결부시켜 국세청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제는 이런 이미지에서 탈피해야 해야 한다. 더 이상 국세청을 검색하면 향응, 금품, 뇌물, 비리 등의 단어가 연관검색어로 따라다녀서는 안된다.

 

청와대는 연말연시를 맞아 공직사회에 대한 '특별 감찰'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직기강이 해이지기 쉬운 연말연시, 또다시 비위행위로 인해 국세청의 이름이 거론되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