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8.08. (금)

기타

'기업성장 촉진' 릴레이 현장 간담회…"제도개선 과제 지속 발굴"

기재부, 오송 바이오헬스 분야 릴레이 현장 간담회 개최

"성장과 밀접한 경영활동 집중 지원하는 방향으로 중소·중견기업 지원제도 개선"

 

 

중소·중견기업들이 기획재정부의 기업성장 릴레이 현장 간담회에서 세제지원 등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기획재정부는 8일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이형일 제1차관이 주재하고 관계부처, 유관기관, 바이오헬스 분야 중소·중견기업 5개사가 참여한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릴레이 현장 간담회는 기업 성장과 역동성 제고를 위해 과감한 규제·지원제도 개선방안을 공론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부 측에서는 이형일 차관을 비롯해 중기·산업·복지부, 식약처, 충청북도 담당 국과장, 유관기관은 한국개발연구원·화장품협회·의료기기산업협회·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기업에서는 메디톡스·노바렉스·코스맥스파마·메타바이오메드·케이피티에서 참석했다.

 

간담회는 참석한 기업들이 실제 기업 성장 현장에서 겪어왔던 어려움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주저하게 만드는 세제·R&D 등 중소기업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건의하고,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과 함께 심층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중소·중견기업 대상 세제지원 방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기업들은 정부가 중소기업 졸업 유예기간 연장, 중소기업 졸업 후 세제지원 점감 구간 마련, 올해 조특법상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 상향 등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앞서 정부는 중소기업 기준을 초과해도 세제상 중소기업 혜택을 적용하는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으며, 중소기업 졸업 후 R&D, 투자세액공제는 3년간 중견기업 대비 높은 수준으로 제공한다.

 

간담회에서는 유망 중소·중소 중견기업의 R&D 이후 사업화, 글로벌 기업 육성까지 이어지는 이어달리기 지원사업이 필요하다는 건의가 이어졌다. 이에 관계부처에서는 유망 바이오 기술을 가진 국내기업이 글로벌 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도록 기업의 경영과 밀접한 유망기술 제품화, 투자 연계, 수출, 글로벌 협력 등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투자, R&D, AI 도입, 수출시장 개척 등 성장과 밀접한 경영활동에 집중 지원하는 방향으로 중소·중견기업 지원제도를 바꿔 나가자는 데 공감대를 같이 했다.

 

기재부는 앞으로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업종별·지역별로 개최하고, 관계부처·기업·유관기관이 폭넓게 참여해 중소기업 지원제도, 기업 규모별 규제, 지주사 규제 등 개선방안을 심층 토론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장 의견을 적극 청취해 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를 지속 발굴키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