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전국 상의 74개 회장 대상 조사
경제회복 시기, '내년 상반기(25%)·내년 하반기(20%)'
전국 상의 회장단이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새정부가 중점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으로 주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74개 상공회의소 회장을 대상으로 ‘새 정부에 바라는 경제정책’을 조사한 결과, ‘새정부 출범 후 향후 5년간 경제 성과’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72%가 “기대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경제회복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내년 상반기(25%)’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내년 하반기(20%)’, ‘내후년 이후(10%)’ 순이었다. ‘회복 시기를 가늠할 수 없다’는 응답도 45%였다.
우리나라 전체 경제 상황과 비교한 지역경제 체감경기에 대해서는 ‘지역경제 상황이 더 나쁘다’는 응답이 65%로 가장 많았고, ‘비슷하다’는 응답이 27%, ‘더 낫다’는 8%였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인재유출 및 인력수급 애로(22%)’와 ‘경영활동에 대한 과도한 규제(22%)’, ‘지역 선도산업 부재(22%)’가 가장 많이 꼽혔다.
새정부에서 가장 중점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으로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28%)’과 ‘지역경제 활성화(28%)’를 첫손에 꼽았다. 이어 ‘법·제도 개선(20%)’, ‘대외통상 전략 수립 및 실행(10%)’, ‘소비 진작 정책(7%)’, ‘자금 지원(3%)’, ‘노동시장 구조 개선(2%)’ 등의 순이었다.
회장단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권역별 추진과제도 제시했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AI·스마트 공장의 산업단지 확대를 위한 제조혁신 △역내 수출기업을 위한 환율안정 및 관세대응 △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및 ESG 대응 역량 강화지원책 등을 제시했다.
충청권에서는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위한 R&D 지원 △산업 전문인력에 대한 교육 시스템 구축 및 정주 여건 개선 등을, 경상권에서는 △수소경제, AI기반 산업, 대체식품 푸드테크 신산업 육성 △제조업 고도화 및 첨단 제조 분야로의 산업구조 전환 등을 꼽았다.
호남권에서는 △AI데이터센터 구축지원 △식품산업 등 지역 특화산업 집중 육성 및 고도화 △조선업 등 지역기반산업 스마트화 및 고부가가치화 지원 등을, 강원‧제주권은 폐광지역 경제 대체산업 개발, 지역 내 교통망 개선과 교통 인프라 구축 등을 건의했다.
전국 상의 회장단은 상법·노조법 등 경제와 기업활동에 부담이 되는 법안들이 합리적 대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 없이 추진되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며 입법 과정에서 경제계 목소리가 보다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경제가 다소 어려운 상황이지만, 최근 소비심리가 개선되며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커지는 상황”이라며 “과감한 소비 진작 대책과 함께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 미래 첨단산업 육성, 규제개선을 통한 민간 투자 유인 등 구조적 해법을 병행해 경제회복의 속도를 높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