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8.06. (수)

관세

[자료] FTA 이행 관세특례법(률)안 주요내용 

               

             

1

 

  제정배경

 


 

 □ 최근 타결된 한?싱 FTA를 비롯한 동시다발적으로 추진중인  諸FTA의 효과적인 국내이행을 위하여 법률체계 정비 필요

 


 

  ㅇ 국회의 비준동의를 받은 협정은 헌법에 의하여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이 있으나, 협정에서 국내법령에 위임한 사항협정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이행법률이 요구

 


 

     ** 미국, 캐나다, 일본 등 대다수 선진국도 이행법 제정?운영

 


 

 □ 한?칠 FTA의 경우 최초 협정임을 감안, 한?칠 FTA 이행에 한정하는 특례법을 제정하였으나,

 


 

  ㅇ 다수국가와 동시다발적으로 FTA가 추진*되는 상황에서 매 FTA 체결시 마다 별도의 이행법을 제정해야 하는 행정부담을 해소하고, 법적 통일성 유지를 위하여 일반특례법 형태로 추진

 

 

 

 □ 조세법률주의원칙에 따라 국민의 재산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사항보편적 이행절차는 법률에, 각국별 특이사항은 하위법령에 규정

 


 

  ㅇ 이외에 FTA 교역대상물품에 대한 관세체계를 글로벌기준에 맞게 보완함으로써 「선진개방형통상국가」 실현을 지원하고 역내간 공정무역 촉진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구 분

 

 대 상 국 가

 

진행상황

 

향후계획

 

 협정발효

 

 칠레

 

'04. 4. 1 발효

 

 

 

 협정타결

 

 싱가포르

 

‘05.4.16 가서명

 

 연내발효 목표

 

 협상진행

 

 일본

 

6차협상 완료

 

 

 

EFTA1) 

 

4차협상 완료

 

 협상타결(‘06하반기발효)

 

 아세안

 

3차협상 완료

 

 연내상품분야 타결목표

 

 사전협의

 

 캐나다

 

2차협의 완료

 

조속한 시일내 공식협상   개시 되도록 의견조율중

 

공동연구

 

 멕시코 

 

 5차연구 완료

 

 

 

남미공동시장2)

 

(Mercosur)

 

1차연구 완료

 

 

 

 인도

 

2차연구 완료

 

 

 

 민간연구

 

 중국

 

 ‘05공동연구개시

 

 향후 2년간 공동연구

 

 한?중?일 3국간 FTA

 

 ‘03공동연구개시    (중국측 제의)

 

 ‘05 연구 완료

 

 1) EFTA: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스타인 자유무역협정연합체

 

 2) 남미공동시장: 아르헨티나·브라질·파라과이·우루과이 4개국 경제공동체

 

 

 

             

2

 

  주요내용

 

             

 

 자유무역협정 대상품목별 협정세율

 


 

□ 한?싱 FTA 등 협정에서 합의된 관세양허계획에 따라 품목별로 적용되는 협정관세율 규정

 


 

    * 한?싱 FTA: 전체 11,261개 품목중 10,315개(91.6%) 품목에 대하여 10년내 관세철폐 되며, 이 중 59.7%인 6,724개 품목은 협정 발효와 동시에 즉시 관세철폐

 


 

 ㅇ 협정에는 관세철폐 또는 관세인하대상물품과 연차적인 관세감축비율만을 정하고 있어 수입물품에 실제 적용할 구체적인 품목별 양허세율은 국내법령으로 마련 필요 

 


 

  【한?싱 FTA 우리나라의 관세양허 개요】

 

양허 카테고리

 

전  체

 

공산품

 

농산물

 

수산물

 

임산물

 

즉시철폐

 

6,724

 

(59.7)

 

6,304

 

(68.8)

 

232

 

(16.0)

 

56

 

(13.8)

 

132

 

(53.7)

 

5년철폐

 

2,009

 

(17.8)

 

1,487

 

(16.2)

 

358

 

(24.7)

 

135

 

(33.3)

 

29

 

(11.8)

 

10년철폐

 

1,582

 

(14.1)

 

1,125

 

(12.3)

 

377

 

(26.0)

 

37

 

(9.1)

 

43

 

(17.5)

 

소   계

 

10,315

 

(91.6)

 

8,916

 

(97.4)

 

967

 

(66.6)

 

228

 

(56.2)

 

204

 

(82.9)

 

양허제외

 

946

 

(8.4)

 

242

 

(2.6)

 

484

 

(33.4)

 

178

 

(43.8)

 

42

 

(17.1)

 

합   계

 

11,261

 

9,158

 

1,451

 

406

 

246

 

 

 

【관세양허물품의 관세감축율(백분율)】

 

 

 

Y0

 

Y1

 

Y2

 

Y3

 

Y4

 

Y5

 

Y6

 

Y7

 

Y8

 

Y9

 

Y10

 

즉   시

 

100

 

 

 

 

 

 

 

 

 

 

 

 

 

 

 

 

 

 

 

 

 

5년철폐

 

16.7

 

33.3

 

50.0

 

66.7

 

83.3

 

100

 

 

 

 

 

 

 

 

 

 

 

10년철폐

 

9.1

 

18.2

 

27.3

 

36.4

 

45.5

 

54.5

 

63.6

 

72.7

 

81.8

 

90.9

 

100

 


 

【한?싱 FTA 관세양허 주요대상물품】

 

             

구 분

 

품목수

 

(비율) 

 

공산품

 

농산물

 

수산물

 

임산물

 

즉시철폐

 

6,724

 

(59.7)

 

 반도체, 컴퓨터, 통신기기, 철강,  자동차, 선박, 섬유류 등

 

 제분용 밀, 사탕무·수수, 팜유 등

 

 연어, 홍합, 냉동 해조류 등

 

 석재류,

 

 원목,

 

 단판 등

 

5년철폐

 

2,009

 

(17.8)

 

 석유아스팔트, 글리세롤 등 유기화학품, 면도기, 전기다리미 등

 

 곡류가공품,  커피, 초콜렛 등

 

 염장품,

 

 통조림 등

 

 대바구니, 부채살 등

 

10년철폐

 

1,582

 

(14.1)

 

 염화수소, 염화암모늄, 포름산 등의 유기화학품, 전동기 등

 

 살구, 딸기, 콩, 감자, 무, 인삼, 주류 등

 

 고등어·대구등 일부 냉동품, 쥐치포 등

 

 제재목,

 

 성형목재,  파레트 등

 

소계(10년내 철폐)

 

10,315

 

(91.6)

 

-

 

-

 

-

 

-

 

양허제외

 

946

 

(8.4)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석유제품, 볼베어링, TV 수신기 등

 

 쌀, 사과, 배, 양파, 마늘, 쇠고기 등

 

 양식용 활어 및 패류, 열대관상어 등

 

 합판,

 

 섬유판 등

 

 

11,261

 

(100)

 

-

 

-

 

-

 

-

 


 

             

 

 국내산업피해구제를 위한 긴급관세조치

 

ㅇ 싱가포르 등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상대국산 물품의 수입급증으로 국내제품의 가격이 크게 떨어져 심각한 산업피해가 발생될 경우

 


 

   - 협정에 따른 세율의 연차적인 인하조치를 중단하거나 일정한 범위안에서 세율을 인상할 수 있는 긴급관세조치 도입

 


 

             

 

 특혜관세 적용에 필요한 원산지결정기준

 


 

 ㅇ 체약상대국에서 실질적으로 제조?가공 또는 생산된 물품에 한하여 원산지를 인정하는 등 특혜관세의 적용 및 우회수출입여부 판단에 필요한 특혜원산지기준 마련

 


 

             

원산지판단기준: 세번변경기준, 부가가치기준 또는 주요공정기준 사용

 

 

 

? 세번변경기준: 당해 물품의 생산에 투입된 수입원부자재의 稅番    (HS code)과 가공제품의 稅番이 일정단위이상 변경된 경우 원     산지 인정 (예: 원유(HS 2709)를 수입하여 휘발유 (HS2710)을 생   산한 경우 세번이 변경된 경우에 해당)

 

 

 

? 부가가치기준: 당해 물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일정 수준(예:       45~55%)이상의 부가가치(附加價値)가 발생한 경우 원산지 인정

 

 

 

? 주요공정기준: 당해 물품을 생산하는 주요공정이 수행된 나라를   원산지로 인정하는 방법(예: 의류제품의 경우 제단 및 봉제 공정이 수행된 나라를 원산지로 인정) 

 


 

             

 

 특혜관세 적용절차 및 원산지사전심사신청제도

 


 

 ㅇ 특혜관세는 수입신고수리전까지 세관장에게 신청하게 하고,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수입신고수리후에도 예외적으로 특혜관세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납세편의 확대

 


 

   * 현행 관세법상 수입신고시 원산지증명서를 세관장에게 제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혜세율 적용이 불가하며, 소급적용도 불인정

 


 


 

  o 특혜관세 신청대상 수입물품의 원산지에 의문이 있는 경우 관세청장에게 사전심사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사전심사 결과에 따라 원산지 결정

 


 

             

 

 우회수출입 확인을 위한 원산지검증제도

 


 

  o 특혜관세 심사 및 우회수출입여부 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세청장 또는 세관장으로 하여금 협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 체약상대국 관세당국에 원산지의 검증을 요청하거나 체약상대국의 수출자 또는 생산자 등에 대하여 직접 검증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함

 


 

             

 

 협정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재조치

 


 

 o 협정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협정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특혜관세의 적용을 배제하거나 벌금 또는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협정관세 적용배제 사유

 

 ? 원산지가 사실과 다른 경우

 

 ? 원산지확인에 필요한 증빙자료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 세관장의 원산지조사를 기피?거부하는 경우

 

 ? 체약상대국 관세당국이 원산지 검증결과를 회신하지 않는 경우 등

 


 

             

 

 협정의 통일적 이행을 위한 국가간 관세협력

 


 

  ㅇ 협정의 통일적 이행을 위하여 양국 관세당국간 상호협력에 관한 법적근거와 협력절차 마련

 


 

   - 체약상대국 관세당국과 통관절차의 간소화, 정보교환, 원산지검증지원에 관한 사항양국 관세당국간 협의기구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규정

 


 

             

 

 수출기업 권익보호를 위한 관세상호협의제도

 


 

ㅇ 체약상대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수출상품 또는 진출기업의 권익확보를 위하여,

 


 

   - 우리나라의 수출기업이 체약상대국 관세당국으로부터 협정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과세처분을 받았거나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수출기업의 신청을 받아 재정경제부장관이 양국 관세당국간 협의할 수 있는 근거 마련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