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실련(공동대표 김성훈 법등 홍원탁 )은 6월 3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개최된 [판교신도시개발에 따른 주변지역 아파트값 상승실태 추정발표 기자회견]에서 이와 같이 주장하고, 판교신도시의 사업을 중단하고 대통령이 직접 나서 공영개발 등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부동산정보업체에서 제공받은 자료를 토대로 작년 10월 이후 분당, 용인, 수원영통과 서울 강남구, 강동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지역의 월별 아파트값 상승추이를 조사한 것이며, 조사결과 올해 1월까지 하락세를 보였던 아파트값이 1월부터 5월까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판교신도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분당, 용인, 수원영통은 5개월 동안 세대당 분당 4,900만원, 용인 3,500만원, 영통 1,150만원 정도 상승하였으며 총액으로는 분당 5조900억원, 용인 3조9천억원, 영통 3천8백억원 등 총 9조3천억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얼마전 입주한 용인의 신봉, 죽전지구를 분석한 결과 2004년 12월에 비해 평당 206만원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근거로 동백, 동탄등의 신도시의 아파트값 상승을 추정한 결과 총 1조6천억원의 아파트값이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국 판교신도시로 인해 직접적 영향을 받는 주변지역의 아파트값이 불과 5개월여만에 11조원이나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기간동안 재건축개발이익환수제가 도입되었음에도 올 1월부터 5월말까지 서울강남권 4개구의 아파트값은 총 23조원이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부분 판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어 강남집값을 잡겠다고 시작된 판교신도시가 오히려 강남의 집값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실련은 성명을 통해 이번 결과가 대통령의 집값 안정에 대한 여러차례의 국민약속이 집값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판교신도시가 집값을 안정시키기는 커녕 아파트값만 폭등시키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 것이라고 주장하며, 판교신도시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이제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 특단의 대책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인터넷 뉴스매체팀
web@taxtimes.co.kr
web@tax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