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6.27. (금)

관세

[관세청] 대륙별 수출동향 (전반적으로 높은 수출증가 추세)


□ 전년도까지 한자리 수에 그쳤던 수출증가율이 금년들어 8월 누계기준으로 16%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세는 중남미를 제외하고 전세계 대륙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음

- 대륙별로 수출증감율은 오세아시아·아시아·아프리카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아시아·북미·유럽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  최근 북미의 경우 증감율 및 비중이 약간씩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연도별

 

'99

 

'00

 

'01

 

'02

 

'03(1∼8월)

 

수출증감율

8.6

19.9

-12.6

8.0

16.2

 

 

  주요 대륙별 증감율 

- 아시아

14.4(45.8)

23.1(47.1)

-13.7(46.5)

10.5(47.6)

23.5(50.7)

- 북   미

27.7(21.7)

28.6(23.2)

-16.9(22.1)

5.6(21.6)

1.2(18.9)

- 유   럽

-9.3(18.1)

7.7(16.3)

-14.8(15.9)

12.7(16.6)

18.1(16.6)

* (  )는 수출구성비

  <'03. 1∼8월 대륙별 수출 실적>

(단위 : 백만불, %)

구분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기타

금액

60,786

22,699

19,917

5,717

5,547

3,236

1,875

193

119,974

구성비

50.7

18.9

16.6

4.8

4.6

2.7

1.6

0.1

100

증감율

23.5

1.2

18.1

-7.2

15.6

52.2

19.5

155.6

16.2

 

<'99∼'03. 8월 대륙별 수출 구성비 및 증감율>

(단위 : 백만불, %)

구 분

'99

'00

'01

'02

'03

구성비

증감율

구성비

증감율

구성비

증감율

구성비

증감율

구성비

증감율

아시아

45.8

14.4

47.1

23.1

46.5

-13.7

47.6

10.5

50.7

23.5

북미

21.7

27.7

23.2

28.6

22.1

-16.9

21.6

5.6

18.9

1.2

유럽

18.1

-9.3

16.3

7.7

15.9

-14.8

16.6

12.7

16.6

18.1

중남미

6.0

-2.5

5.4

8.3

6.5

3.8

5.5

-8.9

4.8

-7.2

중동

4.5

-2.9

4.4

18.6

4.7

-5.9

4.6

5.1

4.6

15.6

오세아니아

2.2

-5.0

2.1

15.1

2.2

-6.3

2.2

10.5

2.7

52.2

아프리카

1.6

-16.3

1.3

-3.2

2.0

32.5

1.8

-3.4

1.6

19.5

기타

0.1

10.9

0.2

39.4

0.1

-38.6

0.1

-17.8

0.1

155

100

8.6

100

19.9

100

-12.6

100

8.0

100

16.2

□ 우리나라 수출주력 상품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반도체」,「무선통신기기」,「자동차」,「화학공업제품」,「섬유류」, 「철강금속제품」등으로 특화되어 있으며, 섬유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있는 것으로 분석됨

 

<'03. 1∼8월 우리나라 주력 수출 상품 현황>

 

(단위 : 백만불, %)

구분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휴대폰)

자동차

화학

공업제품

섬유류

컴퓨터

기타

금액

11,612

11,186

10,880

10,640

9,999

9,115

63,432

119,974

구성비

9.7

9.3

9.1

8.9

8.3

7.6

52.9

100

증감율

9.3

42.4

22.2

22.0

-3.3

5.9

-

16.2

 

《아시아지역 수출현황》

 

□ 올해 8월까지의 전체 수출액인 1,199억불의 50.7%를 차지하며  주요 수출대상국은 중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임

- 중국과 일본으로의 수출금액은 317억불로 전체 수출액의 26.5%, 아시아 전체 수출액의 52.3%를 점유

- 특이할 점은 올해들어 네팔, 라오스,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등 소수국가로의 수출 증가율이 159%, 104%, 197%, 69%로 급증

   

<'03.1∼8월 아시아지역 주요 국가별 수출실적>

 

(단위 : 백만불, %)

구분

중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 포르

인도네시아

기타

금액

21,036

10,762

8,557

4,301

2,904

2,370

10,856

60,786

구성비

34.6

17.7

14.1

7.1

4.8

3.9

17.8

100

증감율

47.7

12.7

28.5

-3.4

4.3

13.4

-

23.5

□ 대 아시아 주요 수출품은 전자·전기, 화학공업, 철강금속제품 등이며 이중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을 포함한 전자· 전기제품이 전체 비중의 41.8%를 차지

 

<'03.1∼8월 아시아지역 주요 수출품>

 

(단위 : 백만불, %)

구분

반도체

무선

통신기기

화학 공업품

기계류

철강

금속제품

섬유류

기타

금액

11,146

10,732

8,456

7,244

5,684

4,912

12,582

60,786

구성비

18.3

17.7

13.9

11.9

9.3

8.1

20.8

100

증감율

19.6

37.8

20.5

47.4

32.8

-0.1

-

23.5

 

 

《북미지역 수출현황》

□ 올해 대 북미지역 수출액은 227억불로 전체 수출액의 18.9% 점유

- 북미지역 수출 점유율은 미국이 92.9%, 카나다가 7.1%

- 대 카나다 수출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7.6%로 증가하였으나  미국의 경우 0.7%로 수출증가세 미미

<'03.1∼8월 북미 지역 주요 국가별 수출 실적>

(단위 : 백만불, %)

구분

미국

카나다

금액

21,081

1,619

22,700

구성비

92.9

7.1

100

증감율

0.7

7.6

1.2

□ 대 북미지역 주요 수출품은 주로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23.7%),  무선통신기기(13.8%), 반도체(10.1%), 섬유류(9.1%)가 주종

- 자동차는 미국(12.3%)과 카나다(10.6%) 양국 모두 대폭 증가

- 무선통신기기는 대 미국시장에 있어서는 점유율이 14.4%를 차지하고 증감율도 37.1%로 높은 반면, 대 카나다 수출의 경우 점유율(5%)과 증가세(-5%)가 모두 미미

- 섬유류·반도체·가정용전자기기는 감소 추세

 

<'03.1∼8월 북미 지역 주요 수출품>

 

(단위 : 백만불, %)

구분

자동차

무선 통신기기

반도체

섬유류

가정용 전자기기

기타

금액

5,374

3,133

2,281

2,067

1,789

8,056

22,700

구성비

23.7

13.8

10.1

9.1

7.9

35.4

100

증감율

12.1

35.5

-16.5

-11.6

-2.9

-

1.2

 

《유럽지역 수출현황》

□ 대 유럽지역 수출액은 199억불로 전체 수출액의 16.6%를 차지하고, 주요 수출국은 독일,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이며  대체로 특정국가에 편중없이 고르게 수출

- 대 독일 수출의 경우 올해 8월까지 33억불을 수출, 유럽 전체지역 수출의 17%를 점유

※ 대독일 수출품은 주로 반도체, 자동차, 선박, 무선전화기 등이며, 반도체 및 자동차의 증감율은 각각 57%, 110%로 높은 추세

- 프랑스의 경우 금년 8월까지의 수출액이 10억불 정도로 대 유럽 지역 수출액의 5%정도 점유, 독일 수출액의 1/3 정도에 해당

   

<'03.1∼8월 유럽지역 주요 국가별 수출실적>

 

(단위 : 백만불, %)

구분

독일

영국

이탈리아

네델란드

프랑스

스페인

기타

금액

3,370

2,642

1,675

1,669

1,099

1,240

8,222

19,917

구성비

16.9

13.3

8.4

8.4

5.5

6.2

41.3

100

증감율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