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10. (수)

관세

[관세청] 김용덕 관세청장, WCO 총회 참석 및 한·네덜란드, 한·핀란드 관세청장 회담을 통한 국제협력 채널 구축


 

□ 김용덕 관세청장은 6.26(木) ∼ 6.28(土)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되는 제101/102차 WCO (세계관세기구) 총회에 참석하고, 이어 유럽의 물류중심국가인 네덜란드(6.30일) 및 북유럽의 선진 세관인 핀란드(7.2일)각각 첫 관세청장 회의를 개최할 예정임.

 

□ WCO 총회는 161개 회원국 관세행정 최고책임자가 참여하는 관세분야의 최대의 국제 행사로 관세행정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세계적인 관세협력망을 구축하는 회의임.

 

○ 관세청은 세계화된 국제 무역·투자 환경 하에서 우리나라를 동북아 물류흐름의 중심으로 육성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이라는 국정목표에 기여하고자 「초일류 세관 추진 전략」을 수립·운영하고 있음.

○ 동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제관세협력 차원에서 WCO를 중심으로 한 관세행정 국제 표준화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선진 세관과의 활발한 협력 활동을 통해 한국 관세행정의 혁신 및 발전을 도모해 나가고 있음.

 

□ 총회 기간중 金 청장은 아직까지 상호 협조채널이 없는 영국, 독일, 프랑스 대표와의 양자 회담미국, EU, 태국 등 주요국 관세청장을 만나 양국간 무역·투자 등 경제교류 확대를 위한 관세 협력채널을 구축 하였음.

 

○ 또한 물류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관세행정 지원방안, 부정무역 단속 방안, 컨테이너 안전 (CSI) 협정 이행에 대한 경험 공유 등을 논의하고, 9월말 서울에서 개최예정인 제5차 ASEM 관세청장 회의논의 방향 및 의제에 대하여도 협의하고 지지와 성원을 요청 하였음.

 

□ 김용덕 관세청장은 WCO 총회 직후 6. 30(월) 네덜란드 헤이그로 이동하여, 제1차 한-네덜란드 관세청장 회의를 갖고 양국간 수출입 통관 원활화 및 부정무역 단속을 위한 「세관상호지원 협정」 체결을 논의할 예정임.

 

○ 또한, 유럽 최대의 물류중심항구인 로테르담 항구를 방문하여 환적화물 처리기법 등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지원하기 위한 선진 관세행정 기법을 공유하고, 현지 진출 국내 기업인과의 간담회를 통해 통관애로 등을 파악, 해소방안을 강구할 계획임.

 

□ 이어 7.2(수)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1차 한-핀란드 관세청장 회의를 갖고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양국간 무역량 증가에 부응하는 관세행정 차원의 교역활동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임.

 

○ 특히, IT 산업 강국인 핀란드의 e-Customs 추진 현황 등 정보화 발전 사례 및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한국 관세청의 인터넷기반 통관시스템 구축사업에 활용할 계획임.

 

 

 

 

<참고자료 1>

 

WCO (세계관세기구) 총회 소개

 

□  WCO (World Customs Organization) 개요

○ 관세법규의 간소화와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고 관세정보의 국제적 교환, 기술 지원 등을 목적으로 1952년 설립

  - 개정교토협약, 품목분류 협약 등 17개 협약을 제정, 운영

  - 161개 회원국 보유 (우리나라는 1968년에 가입)

○ 총회 (최고의사결정기관), 정책위원회, 재정위원회, 5개 기술위원회와 산하 소위원회 등으로 구성

 

□  WCO 총회(Council) 성격

 

○ 연 1회 개최되며 161개 회원국 수석대표(관세행정 최고책임자)로 구성되는 WCO 최고 의사결정기관

○ 연간 WCO 활동 계획과 실적을 검토하고 국제 관세행정의 주요 현안 사항 및 향후 관세 행정의 발전 방향을 논의

 

□ 2003년 제101/102차 WCO 총회 주요 의제

 

○ 무역 공급망 안전 확보를 위한 이행방안

○ WTO 무역원활화 협상지원 방안

○ 적절한 관세평가를 위한 수출가격 정보교환 방안

○ 신속하고 효율적인 통관을 위한 세관 능력 배양 전략

 

 

 

<참고자료 2>

 

한-네덜란드 경제교류현황

 

□ 양국간 교역 현황

○'02년 기준 20번째 교역대상국으로 수출로는 13번째(유럽국가중 3번째)

○ 주요교역품목

  - 수출 : 모니터, 휴대용전화기, 타이어, 골프공 등

  - 수입 : 반도체생산관련 기자재, 유기화학품 및 산업용 원자재 등

 

※ 최근 5년간 교역규모 

 

(단위 : 백만불)

년  도

1998

1999

2000

2001

2002

수  출

1,937

2,143

2,657

2,532

2,567

수  입

883

1,047

1,171

1,017

1,149

교역량

2,821

3,191

3,828

3,549

3,716

무역수지

1,053

1,095

1,486

1,514

1,417

 

□ 양국간 투자 현황

○ 한국의 대네덜란드 투자현황

  - 2002년까지 20억불을 네덜란드에 투자

  - 삼성전자, LG전자, 한국타이어 등이 EU시장 교두보(유럽물류센타) 구축

○ 네덜란드의 대한국 투자현황

  - 미국·일본에 이어 3번째 투자국 (2002년까지 102억불)

  · LG-Philips (LCD 합작 투자), ING생명, Rodamco Asia (부동산 시장 진출) 등

 

□ 한·네덜란드 세관상호지원협정 주요 골자

 

○ 부정무역 단속을 위한 정보 교환, 양국간 무역 촉진 지원 등 관세당국간의 상호 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

※ 현재 미국, 중국 등 전세계 20개국과 세관지원협정을 체결

 

 

 

<참고자료 3>

 

한-핀란드 경제교류현황

 

□ 양국간 교역 현황

○ 2002년 기준 39번째 교역대상국으로 수출로는 35번째 수출시장임

○ 주요교역품목

  - 수출 : 휴대폰, 반도체, 전자제품, 건설중장비, 타이어, 건설자재 등

  - 수입 : 제지기계 및 부품, 선박용 엔진, 핸드폰부품, 목재 및 펄프 등

 

※ 최근 5년간 교역규모 

 

(단위 : 백만불)

년  도

1998

1999

2000

2001

2002

수  출

272

299

590

529

707

수  입

349

302

414

381

411

교역량

621

601

1004

911

1,118

무역수지

-77

-2

176

148

295

 

□ 양국간 투자 현황

○ 한국의 대핀란드 투자현황

  -  삼성 등 대기업 및 선박회사들이 핀란드에 진출하였으나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철수하여 한국진출기업은 없음.

○핀란드의 대한국 투자현황

  -  1982년 Nokia사가 처음으로 한국에 투자하여 마산 자유무역지대 내에 휴대폰공장 설립한 이래로 총 21개사의 핀란드 기업이 한국에 진출

  -  2002년까지 6,123만불을 한국에 투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