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23. (화)

내국세

OECD,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1.0% '유지'…내년 2.2%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유지했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1.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6월 내놓은 전망치와 동일한 수치다.

 

OECD는 내년도 우리 경제 성장률로 2.2%를 제시했다. 마찬가지로 6월 전망치와 동일하다.

 

OECD는 매년 5~6월과 11~12월 2차례 세계경제·회원국·주요 20개국(G20) 국가를 대상으로, 3·9월에는 세계경제, 주요 20개국(G20)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전망을 공개한다.

 

주요국의 경우 내년이 올해보다 대체로 성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전망하는 데 반해 한국의 경우 최근 회복세가 지속되며 내년 성장률이 올해보다 크게 높은 것이 특징이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2.2%, 내년 1.9%로 전망했다. 이는 6월 전망치 대비 올해는 0.1%포인트 높고, 내년은 0.1%포인트 낮다.

 

한편 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3.2%로, 6월 전망치 대비 0.3%포인트 상향조정했다. 내년 세계경제 전망률은 2.9%로 6월 전망과 동일하게 전망했다.

 

OECD는 “관세 인상 전 조기선적에 따른 생산 및 무역 증가, 인공지능 투자 등으로 세계경제가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국 일부에서 최근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증가세가 둔화됐고 노동시장도 다소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올해 하반기에는 조기선적 효과가 감소하고 관세 인상과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투자와 무역을 위축시키면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유로존, 일본,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각각 1.8%, 1.2%, 1.1%, 4.9%로 전망했다. 6월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 0.2%포인트, 0.4%포인트, 0.2%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미국 1.5%, 유로존 1.0%, 일본 0.5%, 중국 4.4%로 내다 봤다.

 

G20 국가의 물가상승률은 경제성장·노동시장 둔화에 따라 올해 3.4%, 내년 2.9%로 6월 전망 대비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을 더욱 자극하고, 최종재 가격으로 전가가 강화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연간 인플레이션은 2026년 동안 목표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