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걸 의원, 기재위서 "현실성 없는 국가재정운용계획 전면 재수립" 촉구
윤석열정부 3년간 세수 결손이 98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감세 추진으로 조세부담률 또한 7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안도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일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석열 정부의 부자감세가 초래한 세수 기반 붕괴와 현실성이 떨어지는 국가재정운용계획을 강력히 비판했다.
안 의원은 “지난 2년간 무리하게 추진된 부자감세로 조세부담률이 2022년 22.1%에서 2024년 17.6%까지 급감했다”며 “이는 7년 전인 2017년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국가의 세입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정부는 감세가 경제성장을 유도해 세수를 확대시킨다고 주장했지만, 그 결과는 오히려 성장률 둔화와 세수 결손의 연속이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2024년 경제성장률은 2021년 4.6%에서 2.0%로 대폭 하향됐다. 현재까지 확정된 세수 결손 규모는 2023년 56.4조 원, 2024년 30.8조원, 2025년 10.3조원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사업소득세, 개별소비세, 유류세, 관세 등 주요 세입 항목의 감소로 세수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비관적으로 전망할 경우 최대 17조원의 세수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 의원은 지난해 9월 정부가 발표한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대해서도 “재량지출의 연평균 증가율을 1.1%, 관리재정수지도 GDP 대비 3% 이내로 가정하는 등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비율을 2024년 3.6%, 2025년 2.9%로 봤으나 실제로는 2024년 4.1%, 2025년 4.2%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재정운용계획은 재정적자를 GDP 대비 3% 이내로 유지하겠다는 재정준칙을 지키겠다는 목적 때문”이라며, “새정부가 구현하고자 하는 재정투자를 정확히 파악해 국가재정운영계획을 전면 재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