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업들, 연구개발특구 세제혜택 확대…투자자 소득공제 확대 건의
김창기 국세청장 "AI, 경제사회에 큰 변화…정책 역량 집중"


챗 지피티(Chat GPT) 등 인공지능(AI) 개발에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참여 중인 가운데, 국내 인공지능 분야 기업들은 적극적인 세제지원과 함께 세금 고민없이 경영에 전념할 수 있는 세정환경 조성을 한 목소리로 요청했다.
특히 스타트업으로 분류되는 인공지능 업계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는 자금 확보가 필수적으로, 인공지능 업계의 자금 유입을 위해 투자자에게 다양한 세제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창기 국세청장은 11일 광주 AI창업캠프에서 인공지능 분야 창업기업 대표들과 만나 현장의 세무애로 사항을 청취한데 이어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김 국세청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챗 지피티의 등장 등 인공지능 기술발전이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고 진단한 뒤 “이같은 변화가 우리 기업이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인공지능 기업 대표들은 연구개발특구 입주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확대와 벤처기업 개인 투자자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 등을 건의했으며,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세정환경 조성 또한 개진했다.
김형수 인공지능기업협력센터장은 “세계적인 인공지능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세제지원이 필요하다”며 “세금 고민 없이 경영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국세청이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정우주 주식회사 인디제이 대표는 “인공지능 스타트업에서 ‘자금 확보’는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기업의 자금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투자자에게 다양한 세제 혜택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국세청장은 현장에서 제기된 의견들은 적극 검토해 법령개정을 건의하는 등 세정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세정지원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 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때 신산업 분야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에 대해서는 납부기한 연장과 부가가치세 환급금 조기지급 등을 통해 자금 유동성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인공지능 분야 기업들이 세액공제·감면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사전심사’와 ‘법인세 공제·감면 컨설팅’ 제도 등의 적극적인 활용 또한 당부했다.
한편 국세청과 인공지능 개발업계와의 이번 간담회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디지털 중심으로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수출·창업 활성화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 △음악 플랫폼 △생체정보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창업기업이 참석하였으며, 창업캠프 입주기업이 개발한 인공지능 제품도 시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