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석식 소주는 전년 대비 4.5% 감소
지난해 주류 출고량이 국내분, 수입분 모두 감소했다. 주종별로는 맥주와 희석식 소주가 전년 대비 감소세를 이어갔다.
29일 국세청이 공개한 2021년 국세통계 3차 수시공개분에 따르면, 2020년 귀속 주류 출고량은 국내분이 321만5천㎘, 수입분이 39만7천㎘로 전년 대비 각각 4.8%, 14.4% 감소했다.
주류별로는 국내분 맥주와 희석식 소주가 전년 대비 8.7%, 4.5% 감소한 반면, 국내분 탁주와 그외 주류는 전년 대비 2.4%, 5.1% 각각 증가했다.
맥주와 희석식 소주의 출고량은 최근 3년간 계속 감소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8년 이후 주류 출고량 현황(천㎘) [통계번호:10-1-1] |
||||||
구 분 |
국 내 분 |
수입분 |
||||
합 계 |
맥 주 |
희석식소주 |
탁 주 |
그 외 |
||
2018년 |
3,436 |
1,737 |
918 |
403 |
378 |
495 |
2019년 |
3,377 |
1,716 |
916 |
371 |
374 |
464 |
2020년 |
3,215 |
1,567 |
875 |
380 |
393 |
397 |
전년대비 |
△4.8% |
△8.7% |
△4.5% |
2.4% |
5.1% |
△14.4% |
2018년 이후 주류별 주세 납부세액 현황(억원) [통계번호:10-1-1] |
||||||
구 분 |
국 내 분 |
수입분 |
||||
합 계 |
희석식소주 |
맥 주 |
탁 주 |
그 외 |
||
2018년 |
26,795 |
12,230 |
13,048 |
197 |
1,320 |
5,490 |
2019년 |
26,553 |
12,635 |
12,466 |
190 |
1,262 |
5,501 |
2020년 |
25,164 |
12,519 |
11,109 |
188 |
1,348 |
5,220 |
전년대비 |
△5.2% |
△0.9% |
△10.9% |
△1.1% |
6.8% |
△5.1% |
또 2020년 귀속 주세 납부세액은 국내분 2조5천164억원, 수입분이 5천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2%, 5.1% 감소했다.
주류별로는 국내분 희석식 소주가 1조2천519억원, 국내분 맥주가 1조1천10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9%, 10.9% 감소했다.
탁주의 주세도 소폭(1.1%) 줄었다.
2020년말 현재 소규모 주류 제조면허는 277개로 집계됐다.
주류별로 탁주가 86개, 맥주가 161개로 전년 대비 각각 26.5%, 7.3% 늘었다. 소규모 주류는 일정 규모 미만의 저장 용기를 보유한 제조장에서 생산한 주류를 말하는데, 탁주·약주·청주·과실주는 1㎘이상 5㎘미만, 맥주는 5㎘이상 120㎘미만이다.
지난해 소규모 주류 출고량은 1만5천320㎘로 전년 대비 1.8% 감소했으며, 종류별로는 맥주가 1만5천110㎘로 전체의 98.6%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