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매스컴에는 연일 기업관련 비리·부정·불법 내용들이 도배를 하고 대서특필되고 있다. 이러한 일들로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거나 고통을 당하게 되고 또 수많은 기업들이 피해를 입거나 도산하게 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의 창업자(88세)이신 노인께서 아들을 잘못 둔 죄로 "입이 열개라도 할 말 없고 죄지은 마음뿐"이라며 눈물을 흘렸다는 기사를 보고 자식을 둔 부모로서 가슴 아프고 안타깝기 그지 없다. 그 아들은 신용과 신뢰를 생명으로 삼아야 할 경영자가 고객 예금을 자기 돈인양 펑펑 썼다. 예금을 불법으로 빼돌렸고, 회계장부를 조작했으며, 감독당국을 매수했다. 이로 인해 해당 저축은행은 부실화돼 영업정지됐고, 예금주와 투자자들은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됐다. 자칫 국민의 혈세가 공적 자금으로 투입될 수도 있는 상황이 됐다. 또다른 닭고기 가공업체 회장은 회사돈 132억원을 빼돌린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됐다 한다. 그는 횡령한 돈으로 서울 강남의 고급 빌라에 개인 명의로 투자하고, 이 빌라 최상층 펜트하우스를 사들였다고 한다. 18개의 비자금 전용 차명계좌를 두고 개인금고처럼 필요할 때마다 돈을 빼썼다고 한다. 창업주라는 이유로 회사 돈이 내 돈이고, 내 돈이 회사 돈이라는 잘못된 생각에서 회사 재산을 축내는 범죄를 저지르는 기업들이 아직도 많다.
이들 말고도 수없이 많이 발표되고 그동안 탈세·비자금 조성·장부조작 등을 통해 회사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다 걸려 쇠고랑을 찬 기업인들을 수없이 봐왔다. 국세청은 최근 지난 4월말까지 체납정리특별 전담반을 편성해 727명의 개인 및 법인으로부터 3,225억원의 체납세금을 징수했다고 발표했다. 발표된 내용 중 참으로 나쁜 탈세 사례를 보면 부동산 임대업자인 A씨는 양도소득세 10억원을 내지 않기 위해 부인과 위장이혼한 후 부동산 양도대금을 배우자에게 위자료 명목으로 줬다고 하나 국세청 전담반이 밀착조사한 결과 위장 이혼임을 밝혀내고 세금을 추징했다 하고, 섬유업체 B씨는 양도소득세 31억원을 내지 않기 위해 부친의 유언장을 조작한 후 상속받은 부동산을 자신이 아닌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에 등기 이전한 것으로 조작했다 하고, 부동산 매매업자인 C씨는 700억원 상당의 아파트 단지내 상가 건물을 팔았지만 빚을 갚고 남은 돈이 없다며 32억원의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특수관계법인에 28억원을 빌려 주고 종업원의 어머니 명의(차명등기)로 37억원짜리 오피스텔을 사들였다고 한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개최한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이 됐으나 이러한 기업들의 투명치 못한 행위들은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2003년 7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는 "회계법인 PWC의 회계기준 평가 결과 한국은 35개국 중 최하위를 차지했다"며 "한국 기업의 회계부정 및 주주 이익 무시행태가 문제이며,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기업의 투명성을 불신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원(IMD)가 발표한 우리나라의 회계 및 감사부문 신뢰도 순위는 58개국 가운데 2009년 39위, 2010년 46위, 2011년(2011년 5월 발표) 47위로 오히려 매년 후퇴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0년 감사·공시 부문 순위도 139개국 가운데 95위에 머물고 있다 하니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이다. 결국 우리나라는 국가 경쟁력에 턱없이 못 미치는 회계신뢰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자금을 빌릴 때 높은 프리미엄, '즉 코리아·디스카운트'을 적용받게 되어 기업의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세계 최고속(?)의 경제성장을 이루다 보니 투명성을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매년 개선은 커녕 후퇴되는 투명성 지수를 하루 빨리 개선시키지 않고서는 선진국에 진입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 대한 낮은 신뢰도가 국가경쟁력과 신인도를 약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 빨리 우리나라 투명성 지수가 개선돼 밝고 명랑한 사회가 되기를 기원해 본다.
※본면의 외부기고는 本紙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