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회 임원선거를 불과 2개월여 앞두고, 현재 세무사회에서 논의 중인 자체 세무회계프로그램 확보방안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는 내년 1월 중순 후보 등록과 동시에 본격적인 임원 선거전을 앞두고 세무사회 프로그램 확보를 둘러싼 논쟁이 입후보자간의 최대 선거이슈로 등장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당초 세무사회는 올 연말, 늦어도 내년 4월 조용근 회장의 임기 전까지 세무회계프로그램을 확보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확보작업이 올 연말까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 내년으로 넘어간다면 상당한 선거 변수가 될 것이라는 것이 세무사계의 시각이다.
이는 세무사회장 선거과정에서 회장 후보자들이 프로그램 확보와 관련한 공약을 제시할 경우, 현 집행부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고 차기 집행부로 이월돼야 한다는 분위기도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무사회 내부에서도 프로그램 확보 관련 차기 집행부 이월론이 제기되고 있어 현 집행부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는 가운데, 세무사회는 연말까지 프로그램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세무사회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某 임원은 "연말까지 세무회계프로그램 확보작업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내년 세무사회장 선거과정에서 진흙탕 싸움이 될 수 있다"며 "세무사회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다른 임원은 "본회와 지방회, 상임이사진간의 이견으로 현 상황에서 프로그램 확보를 둘러싼 이견을 봉합하기는 힘들다"며 "선거과정에서 이 문제를 공약으로 제시할 경우 자연스럽게 회원들의 선택을 받게 됨으로써 의견 취합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결국 세무사회 자체 세무회계프로그램 확보문제는 연말까지 현 집행부에서 매듭을 지을 것인지, 아니면 내년 1월 선거전에 뛰어든 회장후보자들에 의해 새롭게 판이 짜여 질지 기로에 서있는 형국이다.
따라서 올 연말까지 프로그램 확보를 위한 세무사회 노력이 물거품이 된다면, 내년 선거전에서 최대 이슈로 부각되면서 세무사계에 프로그램 확보를 둘러싼 새로운 논쟁이 불거지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