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마산시 신포동 2부두 인근 신포지구 2만4천여㎡(약 8천평)에 총 482억원을 들여 2012년까지 마산지방합동청사를 건립한다는 방침으로, 지난해 12월 청사건립을 위한 설계입찰공고를 하고 설명회를 가졌다.
정부는 2012년 마산지방합동청사가 건립되면 마산지방해양항만청, 마산세관, 국립마산검역소, 국립식물검역소 마산지원, 통영해경마산파출소 등 6개 기관을 입주시킬 방침이다.
합동청사가 건립된 뒤 기존 청사는 감정평가에 의한 교환방식으로 정리된다.
그러나 오는 7월 마산·창원·진해시가 통합되면(일명 통합 창원시) 482억원을 들여 건립한 마산합동청사가 당초 기대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공중에 붕 뜰 우려가 커 보인다.
창원지역은 기관마다 독립청사에서, 마산지역은 합동청사에서 집무를 보게 돼 형평성이 맞지 않을 뿐 아니라 1개 시에 2개의 국가기관이 양립하는 기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
이에 따라 마산지역합동청사건립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마산시는 합동청사 건립이 시의 도시개발계획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는 입장이다.
이들 기관의 현재 청사는 마산시가 추진하는 해양신도시 건설예정 부지에 위치해 있다.
마산시는 5만톤급 컨테이너선이 마산항으로 입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산만을 준설하고 준설토를 현재의 마산 서항부두 및 2부두에 매립한다는 계획이다.
매립지를 포함한 서항 부두에서 2부두에 이르는 54만평에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남도의 승인이 나오는 대로 호안 축조공사 등 매립공사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마산지방합동청사 건립을 이대로 강행하는 것은 '소탐대실'를 범할 수 있다.
기존 마산시에 위치한 중앙정부기관 중 일부만 정부마산지방합동청사에 입주시키기 보다는 오는 7월 통합 창원시가 발족된 후 통합시 정부합동청사를 건립하는 것이 바람직한 선택일 것이다.
마산지방합동청사 건립공사를 강행한 후 또다시 예산을 들여 통합시에 제2정부합동청사를 건설하는 것은 예산낭비만 할 우려가 크다.
앞으로 통합시의 위상에 맞는 정부합동청사 건립을 위해 현재 설계 중인 정부마산지방합동청사 건립은 더 많은 예산 낭비 이전에 즉시 중단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