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스캔들과 부적절한 골프회동으로 지난 1월19일 한상률 전 국세청장이 자진사퇴한지 4개월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신임 국세청장인선의 윤곽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한상률 전 청장 퇴임 직후 신임 청장 후보자들의 하마평이 세정가에 오르내리며 신속한 인선작업이 예상됐지만 4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국세청장 자리는 공석으로 남아 있다.
국정원, 검찰·경찰청과 더불어 소위 4대 권력기관으로 불리는 국세청장의 장기간 공석사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일각에서는 3대 권력기관장이 영남인사로 채워짐으로써 국세청장의 경우 비영남 인사를 선임하기 위한 작업으로 인해 인사시기를 놓쳤다는 시각과 더불어 하마평에 오른 인물 중 적격자가 없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세정가의 최대 관심사인 신임청장의 내부승진 및 외부영입 여부에 대해서도 여전히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자, 세정가에서는 4개월간 국세청장을 공석으로 남겨둔 속사정에 대해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세정가에서는 대체적으로 내부승진을 바라고 있으며, 이 경우 허병익 국세청 차장이 청장 직무대행 꼬리표를 떼어 내는 것이 바람직한 인사구도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최근 불거지고 있는 박연차 게이트와 일부 직원들의 비리 연루로 인한 검·경찰의 국세청 압수수색 여파로 권력기관간의 갈등이 조성됐고, 여기에 한상률 전 청장의 연루의혹 등으로 인해 국세청장 인선이 새국면을 맞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한 전 국세청장의 이메일 조사 등 세번 연속 국세청장의 검찰조사가 이뤄지면서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여겨졌던 외부인사 영입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 내부승진이라는 세정가의 바람이 현실로 이뤄질지 관심거리다.
국가 세수입을 총괄하는 국세청장의 4개월간 공석사태는 국세청의 근본적 쇄신을 요구하는 사회전반적인 분위기가 인사지연으로 이어졌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결국 국세청 쇄신방안이 신임 국세청장의 인선과 맞물려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복지세정으로의 변신과 경제침체 속에서 세수조달이라는 커다란 과제를 안고 있는 국세청의 현재 상황을 생각하면 쇄신을 위한 장기간의 심사숙고보다 신속한 조직정비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