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이 5월 시범운영을 앞두고 이달 22일 관세청으로부터 종합보세구역으로 지정됐다.
종합보세구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은 해외에서 수산물을 들여와 가공작업을 거쳐 재수출하기까지 일체의 관세를 내지 않으며, 물품 이동시에도 세관신고가 생략돼 신속한 수산물 처리가 가능해지고 비용·시간 등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수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국제경제력이 한층 배가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이 종합보세구역 지정을 받는데 소요된 기간이 한달이 채 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큰 화제를 불러 모으고 있다.
허용석 관세청장은 취임 2주째인 지난달 23일 부산시 국제수산물 도매시장 건설현장을 방문, 부산시로부터 동 시장부지에 대한 종합보세구역 지정을 요청받았다.
현장에서 관세청 담당자와 전화로 논의를 마친 허 관세청장은 별다른 요건 변화가 없는 한 시범개장인 5월 이전까지 보세구역 지정을 마무리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현장 방문 한달만인 지난 22일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이 종합보세구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약속이 지켜진 셈이다.
이와 관련, 청장의 약속만을 근거로 종합보세구역이 지정되지는 않았는지를 보충취재했으나, 허 관세청장 방문 이전부터 부산시와 관세청간에는 종합보세구역 지정을 위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 관계자는 "부산시로부터 신청서는 제출되지는 않았으나, 종합보세구역 지정을 받기 위해 여러번 논의를 진행했었다"며 "지정요건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제반절차 등을 고려할 경우 다소 시간이 걸리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국정철학으로 삼은 새 정부는 공직자들에게 "현장감을 잃지 말 것"을 각별히 주문하고 있다.
이번에 허 관세청장이 직접 발로 뛰며 해결한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 종합보세구역 지정건은 새 정부의 정책방향인 '모든 문제는 현장에서 발생하고, 해결책 또한 현장에 있다'는 격언을 실천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