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관세행정이 친(親)기업 형으로 바뀐다고 한다.
지금까지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세관이 실시해 온 사전·사후 세액심사가 사후심사 하나로 통일되고 4종류에 달하는 관세 심사종류도 종합심사 하나로 통폐합되는 등 기업이 편하게 통관업무를 볼 수 있도록 세관행정이 대폭 개선된다는 것이다.
또 수출입기업의 물류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화물 통관현장에서 수출입절차가 완료되는 '모바일 현장통관서비스'가 도입되고, FTA비즈니스모델 컨설팅이 국내 수출입기업에게 제공된다고 한다.
지난주 전국 세관장회의를 통해 나온 내용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들이다.
기업들이 수출입통관 현장에서 주로 아쉽게 생각했던 부분이 관세행정 운용방안에 거의 포함돼 있다는 업계의 목소리도 들린다.
신임 허용석 관세청장이 취임 이후 휴일도 반납한 채 전국 세관을 돌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난 이후에 나온 내용들이어서 더욱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강만수 재정부 장관도 이날 세관장회의에 참석해 관세청의 업무보고를 받은 후 새 정부의 경제정책이 빨리 정착될 수 있도록 관세청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주문하면서 격려했다.
누누이 강조하지만 관세행정은 어느 분야보다 글로벌 개념이 강하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를 찾을 때 가장 먼저 대하는 것이 바로 세관 직원들과 통관수속이다. 수출업무도 마찬가지다. 통관의 신속성과 편의성은 바로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으로 곧바로 연결된다. 따라서 관세행정은 한국을 대표하는 행정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런 의미에서 관세청이 추진하기로 한 새 관세행정 운용방안은 관세분야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만이 아닌 국민 모두의 관심사다.
허용석 관세청장의 현장파악 행보와 더불어 새 관세행정 운용방안이 어떤 모습으로 발전할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