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세연구원 박형수 연구기획본부장<사진>이 15일 통계청장으로 내정됐다. 67년 전남 화순생인 박 내정자는 광주 동신고와 서울대 경제학과, 미 LA대학을 졸업한 뒤 2001년 한국조세연구원 전문연구위원으로 활동해 왔다. - 프로필 △67년 전남 화순 △광주 동신고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 University of California - Los Angeles (Ph.D., 경제학) △한국은행(외환관리부, 국제국) △ 한국조세연구원 전문연구위원 △한국조세연구원 세수․재정추계팀장 △한국조세연구원 재정· 예산분석센터장 △한국조세연구원 연구기획본부장
조달청장에 민형종 조달청 차장이 내부에서 승진 임명됐다. 신임 민 청장<사진>은 행정고시(24회) 합격 후 30여 년 동안 조달청에서 근무하면서 조달청차장, 기획조정관, 구매사업국장, 전자조달국장 등 주요보직을 거친 조달 관련 정책전문가로 탁월한 기획력을 평가받아왔다. 기획조정관 재직 시 물가안정, 내수활성화 등 주요 경제이슈에 대한 조달분야 대응방안을 마련했고, 정부조달의 공정성 제고방안과 중소기업 지원 확대방안 등 국정기조와 부응한 조달정책을 능동적으로 추진했다. 구매사업국장과 전자조달국장으로 있으면서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의한 온라인 구매체제를 정착시키는 한편, 세계최고의 전자조달시스템으로 평가되고 있는 나라장터시스템을 베트남, 코스타리카, 몽골 등으로 수출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민형종 신임 조달청장은 “공공수요를 활용한 고용과 성장촉진 그리고 일자리 창출과 우리경제의 성장 잠재력 확충에 적극기여할 것”이라면서 “ 중소기업이 창의적 도전을 통해 보상받고 더 큰 기업으로 성장하는 조달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조달청장의 내부 승진임용은 지난 97년 3월 강정훈 조달청장 이후 두 번째다. - 프로필 △58년 전남 △광주제일고등학
국세청 직원들로부터 함께 일 해보고 싶은 관리자 1순위에 꼽힐 만큼 '덕장형 리더'로 평가받는다. 1984년 행시27회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 마산세무서 총무과장으로 국세청에 첫 발을 내딛었다. 재무부 세제실 정책입안 경험과 일선세무서 과장과 서장 등 세정현장 경험을 모두 겸비해 조세제도와 세정운영 전반에 대한 전문성이 탁월한 관리자다. 국세청 직원들 누구나 인정하는 업무추진력으로, 일처리가 깔끔하고 민주적인 리더십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조직관리 역량도 뛰어나다는 평이다. 국선도를 취미로 즐기며, 유연한 성격과 부드러운 인상을 주지만 업무처리는 꼼꼼하고 치밀하다. 대전청장을 거쳐 무려 2년여간 국세청 기획조정관을 맡아 국세청의 대외소통 창구역을 충실히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국세청 징세법무국장 재직시 악성체납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숨긴재산 무한추적팀’을 창설하는 등 징수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새롭게 썼다는 평가를 받았다. 궂은 일도 마다하지 않는 적극성이 몸에 밴 관리자로, 조직내부의 신망이 두텁고 공과 사가 분명해 자기관리가 철저하다. 부인 황귀자씨와 사이에 1남1녀를 뒀다. ▷59년 ▷대전 ▷대전고 ▷중앙대 경제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제 26대 관세청장에 백운찬(57세·사진)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발탁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FTA라는 국제통상환경에 변화에서 수출입경쟁력을 제고하고, 불법·무정무역을 방지하는 관세행정 사령탑에 백운찬 세제실장을 발탁·임명했다. 금번 제26대 관세행정 사령탑에 임명된 백운찬 신임 관세청장은 56년 경남 하동출신으로 진주고와 동아대 법학과 졸업 후 행시 24회로 공직생활을 시작한 이래, 국세청, 재무부 증권국·세제실, 대통령비서실, 국회, 총리실 등에서 세정과 세제, 조세심판과 금융 등을 두루 섭렵한 조세전문 관료다. [사진2] 사무관시절 국세청 일선 세무서에서 근무하며 세무행정의 실무경험을 쌓았으며, 세제실에서는 금융실명제 실무책임자로 활약하며 우리나라 금융거래질서의 투명화와 선진화에 기여했다. 과장 승진후 조세정책과장·소득세제과장·조세지출예산과장를 비롯해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했으며, 이 당시 현금영수증제도를 도입해 신용카드와 함께 거래의 투명화를 제고하고 불요·불급한 비과세 감면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우리나라 민원제도를 국민위주의 신속·간편한 제도로 전면개편했다. 국장 재직시에는 근로장려세제(EITC) 추진부단장, 부동산기획부단장, 관세정책관, 재
박근혜 정부의 첫 검찰총장 후보로 내정된 채동욱(54·사법연수원 14기) 서울고검장은 자상하고 겸손한 성품이지만 업무에 대해서는 확고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그는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사건 수사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2003년 '굿모닝시티' 분양 비리 수사를 하는 등 검찰 내 대표적인 특수통이기도 하다. 명성에 걸맞게 2006년 대검 수사기획관으로 재직할 당시 '현대자동차 비자금 의혹' 사건과 '론스타의 외환은행 헐값 매입 의혹' 사건을 처리했고, 2010년 대전고검장을 역임하면서 '스폰서 검사' 사건 진상조사단장을 맡았다. 이처럼 대형사건에 대한 풍부한 수사경험 덕에 분석력과 상황판단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또 검찰 내에서는 선후배들의 신망이 가장 두터운 간부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검찰 위기 때마다 특유의 중재력과 친화력을 발휘해 '해결사' 역할을 자임해왔다. 대검 차장 시절에는 한상대 전 총장 대신 야당 의원들의 항의방문을 받으면서 해결에 나서 "말이 통하는 사람"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다만 채 고검장은 '검란 사태'때 대검 차장으로 있으면서 검사장급 간부들과 함께 한 전 총장에 사퇴를 권유한 바
이성한(57) 부산경찰청장이 15일 신임 경찰청장으로 내정됐다. 이 내정자는 195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 홍익고와 동국대 경찰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경찰간부후보 31기로 임용됐다. 경찰청 과학수사과장, 서울 수서경찰서장, 대통령 치안비서관실, 주미대사관 참사관, 경찰청 혁신기획단장, 외사국장, 충북경찰청장 등을 지냈고 지난해 5월 현 계급인 치안정감으로 승진해 부산경찰청장에 임명됐다. 이 내정자는 경찰 내 주요 직위를 두루 거쳐 다방면의 업무에 두루 밝고 특히 외사수사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부산경찰청장 재직 시절 현장 중심의 조직 운영을 펼치고 전략적으로 치안 현안에 대처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이 내정자는 이날 미근동 경찰청사를 방문, 기자들과 만나 "어렵고 중요한 시기에 무거운 책임을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국정철학과 함께 4대 사회악 제거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1956년 서울 ▲서울 홍익고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동국대 행정대학원 ▲간부후보 31기 ▲경남 거창경찰서장 ▲경찰청 과학수사과장 ▲서울 수서경찰서장 ▲청와대 치안비서관실 파견 ▲경북경찰청 차장 ▲주미대사관 참사관 ▲경찰청 혁신기획단장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새정부의 첫 공정거래위원장에 한만수(55)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내정했다. 한 후보자는 경상남도 진주 출신으로 경북대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사시 22회 출신인 한 후보자는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일하며 한양대 법학과 부교수를 지냈고, 2007년 이화여대로 로스쿨로 자리를 옮겼다. 박 대통령의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으로 참여한 한 후보자는 조세분야 전문가로 박근혜 캠프의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정부개혁추진단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때문에 한 후보자는 그동안 국세청장 후보자로 거론되기도 했지만 공정위원장 발탁은 의외라는 반응이다. 한편 한 후보자는 지난달 연금·퇴직세제 개편에 대한 의견 제출 등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위원으로서 금융세제 선진화에 기여한 공로로 모범납세자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1958년 경남 진주 출생 ▲서울대 법대 졸업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한양대 법학과 부교수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대한변호사협회 국제이사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위원 ▲2013년 모범납세자 대통령 표창
청와대는 최문기(62·사진)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 교수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내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정보통신 전문가인 최 교수가 미래창조과학부의 핵심기능인 정보통신기술(ICT)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에 적합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교수는 서울대 응용수학과를 졸업한 뒤 카이스트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대학원 박사를 마쳤다. 1993년부터 4년간 전북대 전자공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1994년부터 2년간 세계 민간 표준화 기관인 ATM 코리아 인터레스트 그룹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 1995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ETRI에 발을 들여놓았다. ETRI 근무 당시 중장기 통신망 계획을 수립하고 통신시스템 개발을 주도해왔다. 2006년부터 3년간 ETRI 원장을 지냈다.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던 2001년 국가의 그리드(전력망) 사업을 세부적으로 수행하고 관련 연구자 간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그리드 포럼 코리아를 창설했다. 2009년 3월부터 카이스트에서 경영과학과 교수로 근무했다. △1951년 경북 영덕 출생 △서울대 응용수학과 학사, 카이스트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임명한 제정부(57) 법제처장 내정자는 오랫 동안 법제처에 몸담아오며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정통 법제관료 출신이다. 경남 고성 출신인 제 처장 내정자는 마산고등학교와 동아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해 법제처 행정사무관을 시작으로 법제처 사회문화법제국 법제심의관, 경제법제국 국장, 행정법제국 국장, 법령해석정보국 국장, 기획조정관실 기획조정관 등 법제처에서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다. 제 처장 내정자는 온화한 성품으로 후배 직원들로부터 존경받고 사회문화법제국장과 경제법제국장, 법령해석정보국장 등 법제처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전문성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제 처장 내정자는 6년 만에 탄생한 내부 출신 법제처장이다. 이석연 전 처장과 정선태 전 처장, 이재원 전 차장은 모두 외부 출신 인사였다. 가족은 부인과 2남이 있다. ▲1956년 경남 고성 ▲마산고 ▲동아대 법학과 졸업▲동아대 법학 석사 ▲법제처 행정사무관 ▲대통령 법률비서실 행정관 ▲대통령 경제법제국 법제관 ▲행정법제국 법제관 ▲사회문화법제국 법제심의관 ▲경제법제국 국장 ▲행정법제국 국장 ▲미국 법무부 국장급
13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으로 내정된 조현재(53) 문화부 기획조정실장은 정통 관료다. 문화부에서 기획과 체육, 관광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경북 포항 출신으로 휘문고와 연세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 행정학과에서 석사, 영국 브리스톨대 청소년지도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행정고시 26회로 공직을 시작해 생활체육과장, 국제체육과장, 청소년국장, 관광레저도시추진기획단장, 체육국장, 관광산업국장 등을 지냈다. 대통령표창(1989), 근정포장(2000), 홍조근정훈장(2012) 등을 받았다. 문화부 내부에서 외유내강 형으로 통한다. 온화한 성품이나 추진력이 강해 문화부 부서 간 업무를 조정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승진에는 예산 확보 능력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1960년 포항 ▲휘문고 ▲연세대 행정학과 ▲서울대 행정학과 석사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박사 ▲문화체육관광부 생활체육과장 ▲국제체육과장 ▲청소년국장 ▲관광레저도시추진기획단장 ▲체육국장 ▲중앙공무원교육원 파견 ▲관광산업국장 ▲기획조정실장
김규현(60) 외교부 제1차관 내정자는 서울 출생으로 경기고, 서울대 치의학과를 졸업한 독특한 경력을 갖고 있다. 김 내정자는 외무고시 14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한국대사관 서기관·정무공사, 외교통상부 장관 특별보좌관, 평가담당대사 등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특히 지난 2009년부터 외교통상부장관 특별보좌관을 담당하며 주요 외교 현안을 두루 다뤄본 경험이 있고, 이에따라 한미 원자력 협정, 북핵 문제, 전시작전권 전환 등 복잡하게 얽혀있는 외교 현안을 풀어낼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53년 서울 ▲서울대 치의학과 ▲하버드대 행정학 석사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 ▲국방부 국제협력관 ▲미국 주재 공사 ▲장관 특별보좌관 ▲평가담당대사
김규현(60) 외교부 제1차관 내정자는 서울 출생으로 경기고, 서울대 치의학과를 졸업한 독특한 경력을 갖고 있다. 김 내정자는 외무고시 14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한국대사관 서기관·정무공사, 외교통상부 장관 특별보좌관, 평가담당대사 등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특히 지난 2009년부터 외교통상부장관 특별보좌관을 담당하며 주요 외교 현안을 두루 다뤄본 경험이 있고, 이에따라 한미 원자력 협정, 북핵 문제, 전시작전권 전환 등 복잡하게 얽혀있는 외교 현안을 풀어낼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53년 서울 ▲서울대 치의학과 ▲하버드대 행정학 석사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 ▲국방부 국제협력관 ▲미국 주재 공사 ▲장관 특별보좌관 ▲평가담당대사
한진현 산업통상자원부(현 지식경제부) 제2차관 내정자는 1959년 9월 전남 보성 출생으로 전남고와 전남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고려대 대학원과 미국 캔자스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 신임 차관은 1981년 제25회 행정고시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으며 동력자원부 행정관리 담당관실, 상공자원부 지방중소기업과, 통상산업부 무역정책과, 외교통상부 주뉴욕총영사관 등을 거쳤다. 지경부 에너지산업정책관, 무역정책관 등을 지냈던 그는 지난 2011년 6월부터 무역투자실장을 역임했다. 그는 2006년 4월 근정포장을 받기도 했다.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현 지식경제부) 제1차관 내정자는 1958년 5월 경북 대구 출생이다. 김 신임 차관은 서울 중앙고와 한양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행정대학원과 미국 위스콘신대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김 차관은 1982년 제26회 행정고시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으며 특허청 국제협력담당관실, 상공부 아중동대양주 통상과, 유통산업과, 기획예산담당관실 등을 거쳤다. 지식경제부 투자정책관, 정책기획관, 신산업정책관 등을 지낸 그는 지난 2011년 6월부터 성장동력실장을 역임했다. 그는 1993년과 2003년에 각각 대통령 표창과 녹조근정훈장을 받기도 했다.
청와대는 13일 여인홍 현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을 차관으로 임명했다. 여 차관 내정자는 1957년 부산 출생으로 부산동래고등학교(1976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1982년)을 졸업했다. 지난 1984년 기술고시 19회로 공직을 시작했으며, 국립식물검역소 부산지소·검역과, 과수화훼과, 국립식물검역소 방제과장, 과수화훼과장,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 등을 거친 후 지난해 2월부터 현재까지 식품산업정책실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