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7.03. (목)

세무 · 회계 · 관세사

[공정위]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자격사의 보수수준 - 하향 안정화 추세 지속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李南基)는 2001년도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 8개 전문자격사의 보수실태를 소비자단체협의회 등에 의뢰하여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변호사 등 전문자격사의 서비스 이용계약체결시에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문자격사간 경쟁 촉진을 도모함

 

 

 

   ※ 카르텔일괄정리법의 시행('99. 2. 5)으로 전문자격사의 보수기준이 폐지됨으로써 전문자격사의 보수는 자율적으로 결정

 

 

 

금번 조사결과에 의하면 보수자율화 이후 2000년 상반기까지 공인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수의사 등 일부 자격사의 보수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왔으나

 

 

 

  ㅇ 2000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대체로 보수가 하락하거나 현상을 유지하는 추세가 2001년도에도 지속됨으로써 대부분의 전문자격사의 보수수준이 보수자율화 이전에 비해 보수가 하락하거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함

 

 

 

  ※ 변리사의 보수는 2000년 하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였으나 2001년도는 2000년 하반기에 비해 평균 10.2% 하락하면서 하락추세로 전환

 

ㅇ 동일업무의 최저/최고보수간 격차는 2000년까지 계속 그 폭이 커져가는 추세에서 금번 조사에서는 이러한 보수격차심화 현상이 2000년보다는 상대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격차는 여전히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아울러 보수결정의 자율화이후 전문자격사간 가격경쟁속에서 평균보수가 대체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보수간 격차도 줄어들어 적정보수의 평균값으로 접근하는 경향도 나타남

 

 

 

 ※ 변호사의 보수격차는 2000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공인회계사 등 나머지 대부분의 전문자격사의 최저/최고 보수격차는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보수수준의 변동추이는 전문자격사들의 업무내용 및 서비스의 질에 따라 보수가 결정되고 있고 가격경쟁으로 보수수준도 대체로 하향 안정화되는 것으로 보여 보수자율화 이후 경쟁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ㅇ 다만, 동일업무의 경우에도 보수격차수준이 높은 만큼 소비자가 적정보수를 선택하고 부당한 보수지불의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전문자격사간 서비스 내용 및 보수수준을 주의 깊게 비교하는 소비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첨부> 1. 2001년 전문자격사 보수실태 조사결과 주요특징요약

 

         2. 2001년 전문자격사 보수실태 조사결과

 

 

 

2001년 전문자격사 보수실태 조사결과(요약)

 

 

 

 □ 99.2월 보수자율화 시행이후 대부분의 전문자격사의 보수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거나 안정적인 수준 유지

 

  ㅇ 2000년 상반기까지는 공인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수의사 등 일부 자격사의 보수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왔으나,

 

    - 2000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보수가 하락하거나 현상을 유지하는 추세가 2001년에도 지속됨

 

  ㅇ 특히, 변리사의 보수는 특허출원수요의 증가에 기인하여   보수기준이 폐지된 이후 2000년 하반기까지 보수수준이 계속 상승하였으나,

 

    - 금번 조사결과는 2000년 하반기에 비해 평균 10.2% 하락하면서 하락추세로 전환

 

 

 

    ※ <별첨#1>전문자격사별 주요업무의 보수수준 및 변동추이

 

 

 

  ☞ 이러한 보수수준의 추이는 보수자율화에 따른 경쟁효과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전문자격사의 서비스에 따른 적정보수가 새로이 형성되기 시작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ㅇ 상당수의 소비자들도 수차례 보수실태조사결과의 공개로 보수수준에 관한 정보획득이 용이해짐에 따라 적정보수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전문자격사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동일업무의 최저/최고보수간 격차심화현상의 상대적 완화 및   하향 평준화 경향

 

 ㅇ 보수기준의 폐지이후부터 동일업무의 최저/최고보수간 격차는 2000년 하반기까지는 계속 그 폭이 커졌으나,

 

  - 2001년도 조사결과는 보수격차심화현상이 2000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보수간 격차는 3.3∼50배로 여전히 큼

 

  - 공인회계사, 세무사, 공인노무사, 변리사 보수격차는 2001년보다 완화

 

 

 

     ※ <별첨#2>전문자격사별 주요업무의 최저/최고보수간 격차

 

 

 

 ㅇ 보수결정의 자율화 이후 전문자격사간 가격경쟁 속에서 대체로 평균보수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최저보수의 상승 또는 최고보수의 하락 등으로 적정보수의 평균값으로 접근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음

 

  - 변호사의 경우 전반적으로 평균보수는 하락하고 있음에도 최고보수는 상승함으로써 보수격차가 심화(2000년 8∼13배, 2001년 14.6∼30배)

 

  - 공인회계사의 경우는 2000년에 비해 평균보수가 전반적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최저값/최고값이 대체로 동시에 하락하여 보수격차가 하향 평준화되는 경향(2000년 8∼50배, 2001년 3.8∼20배)

 

 

 

□ 기 타

 

 ㅇ 보수기준의 폐지사실에 대해서는 전문자격사나 수요자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음

 

 ㅇ 지역적인 특징으로는

 

   - 일반적으로 수요가 많은 서울지역의 보수수준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고액보수를 받는 경우도 서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기타 변호사·공인회계사의 경우는 대전, 공인노무사의 경우 대전·광주, 세무사의 경우는 대전, 변리사의 경우는 광주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평균보수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최저/최고 보수간의 격차도 서울지역이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서울지역에서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됨

 

  ㅇ 공인노무사의 경우는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의 보수수준이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와는 달리 대체로 상승

 

   - 이는 공인노무사의 경우도 다른 전문자격사와 같이 고유업무영역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에도 상대적으로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에 비해 보수가 현실화되지 못하였다는 인식하에

 

   ·전문지식과 경험을 요하는 특화된 업무분야에서 높은 보수를 책정하는 것으로 보임

 

 

 

 

 

<별 첨1>전문자격사별 주요업무의 보수수준 및 변동추이

 

전문자격사 및 업무내용

 

보수수준(평균)

 

2000.12월과 비교

 

'99년 10월

 

2000년 6월

 

2000년 12월

 

본조사

 

 

 

 

채권채무사건 보수

 

(경제적 추정이익가액 1억원)

 

447만원

 

429만원

 

391만원

 

387만원

 

하락

 

손해배상사건 보수

 

(경제적 추정이익가액 1억원)

 

518만원

 

485만원

 

458만원

 

405만원

 

하락

 

폭행사건 보수

 

462만원

 

404만원

 

387만원

 

391만원

 

상승

 

교통사고사건 보수

 

445만원

 

485만원

 

448만원

 

378만원

 

하락

 

이혼사건 보수

 

411만원

 

369만원

 

350만원

 

364만원

 

상승

 

 

 

 

 

 

개별 재무제표 회계감사 기본보수

 

(자산총액 10억원∼30억원미만)

 

423만원

 

404만원

 

412만원

 

385만원

 

하락

 

회계에 관한 감정 및 증명의 기본보수(자산총액10억원∼50억원미만)

 

118만원

 

155만원

 

131만원

 

121만원

 

하락

 

원가계산에 대한 보수(자산총액 10억원이상∼50억원미만)

 

210만원

 

264만원

 

220만원

 

157만원

 

하락

 

 

 

 

기장대행기본보수

 

(수입금액 5억원∼10억원미만)

 

18만원

 

17만원

 

16.5만원

 

16만원

 

하락

 

세무조정계산서 작성보수

 

(수입금액 1억원∼3억원미만)

 

46만원

 

38만원

 

35만원

 

21만원

 

하락

 

불복청구대리에 대한 보수(추정이익가액5천만원∼3억원미만)

 

11%(취소경감금액대비)

 

13%(취소경감금액대비)

 

11%(취소경감금액대비)

 

13%(취소경감금액대비)

 

상승

 

 

 

 

 

 

사무대행 보수

 

(건강진단결과 보고 대행)

 

9만원

 

26만원

 

24만원

 

30만원

 

상승

 

사건대리보수(추정이익가액3,000만원∼5,000만원미만)

 

경제적 추정이익가액의 10.5%

 

경제적 추정이익가액의 10.4%

 

경제적 추정이익가액의 10.5%

 

경제적 추정이익가액의 17.32%

 

상승

 

노무상담 보수(서면 1건당)

 

6.3만원

 

7.9만원

 

7.7만원

 

15만원

 

상승

 

 

 

 

특허출원관계보수

 

(착수금+성공보수)

 

141만원

 

171만원

 

175만원

 

166만원

 

하락

 

무효??취소심판관계 보수

 

(착수금+성공보수)

 

271만원

 

328만원

 

342만원

 

304만원

 

하락

 

 

 

 

성대수술

 

8∼10만원

 

5∼8만원

 

8∼12만원

 

8∼10만원

 

하락

 

꼬리절단

 

1천원∼1만원

 

2∼3만원

 

1∼2만원

 

5천원∼1만원

 

하락

 

귀절단

 

7∼10만원

 

7∼10만원

 

5∼7만원

 

7∼10만원

 

상승

 

 

 

 

각서·매도증서·위임장 등 간단한 서류작성 매당 보수

 

5천원∼

 

   1만원

 

1천원∼

 

     5천원

 

1천원∼

 

    5천원

 

3천원∼

 

    5천원

 

유사

 

이유서·건의서·진정서 등 매당 작성보수(세부내용 포함)

 

1만원∼

 

      2만원

 

2만원∼

 

     3만원

 

5천원∼

 

    1만원

 

1만원∼

 

   2만원

 

상승

 

관세사

 

수수료율(수출)

 

0.15%

 

0.12%

 

0.12%

 

0.10%

 

하락

 

※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변리사의 보수는 평균보수이고, 수의사, 행정사의 보수는 최빈보수구간이며 관세사의 수수료율은 평균수수료율임

 

<별 첨2>전문자격사별 주요업무의 최저/최고보수간 격차

 

 

전문자격사 및 업무내용

 

최저/최고 보수간 격차

 

'99. 10

 

(최저/최고)

 

2000. 6

 

(최저/최고)

 

2000. 12

 

(최저/최고)

 

본조사

 

(최저/최고)

 

변 호 사

 

채권채무사건 보수

 

10배

 

(100만원/ 1,000만원)

 

13배

 

(100만원/

 

1,300만원)

 

13배

 

(100만원/

 

1,300만원)

 

14.6배

 

(150만원/

 

2,200만원)

 

손해배상사건 보수

 

15배

 

(100만원/ 1,500만원)

 

8배

 

(150만원/ 1,200만원)

 

12배

 

(100만원/ 1,500만원)

 

22배

 

(100만원/

 

2,200만원)

 

폭행사건 보수

 

10배

 

(100만원/ 1,000만원)

 

10배

 

(150만원/ 1,500만원)

 

8배

 

(120만원/ 1,000만원)

 

14.6배

 

(150만원/

 

2,200만원)

 

교통사고사건 보수

 

10배

 

(100만원/ 1,000만원)

 

5배

 

(200만원/ 1,000만원)

 

10배

 

(100만원/ 1,000만원)

 

30배

 

(100만원/

 

3,000만원)

 

이혼사건 보수

 

10배

 

(100만원/ 1,000만원)

 

10배

 

(100만원/  1,000만원)

 

10배

 

(100만원/ 1,000만원)

 

30배

 

(100만원/

 

3,000만원)

 

공인회계사

 

개별 재무제표 회계감사 기본보수(자산총액 5억원 미만)

 

1.6배

 

(200만원/

 

321만원)

 

20배

 

(25만원/

 

500만원)

 

15배

 

(40만원/

 

600만원)

 

20배

 

(25만원/

 

500만원)

 

회계에 관한 감정 및 증명의 기본보수(자산총액 10억원∼50억원미만)

 

3.3배

 

(60만원/

 

200만원)

 

40배

 

(20만원/

 

800만원)

 

8배

 

(50만원/

 

400만원)

 

3.8배

 

(50만원/

 

190만원)

 

원가계산에 대한 보수

 

(자산총액 100억원이상)

 

3.3배

 

(120만원/

 

399만원)

 

10배

 

(100만원/

 

1,000만원)

 

50배

 

(18만원/

 

900만원)

 

20배

 

(30만원/

 

600만원)

 

세  무  사

 

기장대행기본보수

 

(수입금액 50억원 이상)

 

2.4배

 

(25만원/

 

60만원)

 

10배

 

(15만원/

 

150만원)

 

10배

 

(10만원/

 

100만원)

 

3.3배

 

(15만원/

 

50만원)

 

세무조정계산서 작성보수

 

(수입금액 40억원∼50억원미만)

 

2.2배

 

(100만원/

 

220만원)

 

12.5배

 

(20만원/

 

250만원)

 

15배

 

(20만원/

 

300만원)

 

4.4배

 

(45만원/

 

200만원)

 

전문자격사 및 업무내용

 

최저/최고 보수간 격차

 

'99. 10

 

(최저/최고)

 

2000. 6

 

(최저/최고)

 

2000. 12

 

(최저/최고)

 

본조사

 

(최저/최고)

 

공인노무사

 

간단한 사무대행 보수

 

(안전보건관리자 선임보고서)

 

5배

 

(2만원/

 

10만원)

 

25배

 

(2만원/

 

50만원)

 

50배

 

(1만원/

 

50만원)

 

30배

 

(무료/

 

30만원)

 

사건대리 성공보수

 

(추정이익가액 1억원이상)

 

5배

 

(2%/10%)

 

15배

 

(1%/15%)

 

7.3배

 

(2%/15%)

 

5배

 

(2%/10%)

 

노무관리 진단보수

 

(상시 100인 사업장)

 

10배

 

(50만원/

 

500만원)

 

50배

 

(10만원/

 

500만원)

 

<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