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최근 일부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 품목 중 일부 품목들이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직후부터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시장이 교란될 징후가 보이고, 이로 인해 관련산업의 생산활동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주시하고
※ 금년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 품목 : 5개 품목
- 싱가폴·중국·프랑스산 전기다리미(2001. 4월 종료)
- 미국·일본·대만산 유리장섬유(2001. 4월 종료)
- 말레이시아·태국·인도네시아산 중질섬유판(2001. 6월 종료)
- 미국산 에탄올아민(2001. 7월 종료)
- 미국·중국산 염화코린(2001. 9월 종료)
ㅇ 덤핑재발에 의한 피해를 신속히 방지하기 위해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 직후부터 일정기간 동안 동 물품에 대한 상시 감시체제를 가동키로 함
※ 상시감시체제란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 품목에 대한 수입증가 및 내수시장 점유율 등을 매월 추적하고 이에 따른 국내산업의 생산동향·경영실태 등을 덤핑 조사개시 수준 정도로 파악하는 것을 말함
□ 산업자원부 무역위원회는 금년 반덤핑 종료품목의 수입동향을 파악한 결과, 특히 중질섬유판의 경우 동남아 3국(태국·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으로 부터의 3/4분기 수입실적은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전인 2/4분기 대비 130.1%가 급증하였으며, 국산품의 시장점유율도 78%에서 60%로 급감 추세에 있어 국내 관련업계의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음
<참고 1.> 덤핑방지관세부과 종료품목 수입실적 (단위 : 천불, %)
구 분
| 2001
| |||||||||
1/4
| 2/4
| 증가율
| 3/4
| 증가율
| 10월
| 증가율
| ||||
중질섬유판
총 수 입
| 물량(㎥)
금 액
| 57,268
10,707
| 73,624
13,199
| 28.6
23.3
| 111,239
19,688
| 51.1
49.2
| 58,360
10,013
| 65.7
61.2
| ||
| 동남아 3국 계
| 물량(㎥)
점유율
| 23,022
40.2
| 23,477
31.9
| 2.0
| 54,032
48.6
| 130.1
| 36,739
63.0
| 236.8
| |
| 말레이시아
| 물량(㎥)
점유율
| 333
0.6
| 33
0.0
| -
| 5,828
5.2
| 175배-
| 10,547
18.1
| 115배
| |
태 국
| 물량(㎥)
점유율
| 11,249
19.6
| 7,349
10.0
| -34.7
| 19,847
17.8
| 170.1
| 11,349
19.4
| 54.6
| ||
인도네시아
| 물량(㎥)
점유율
| 11,440
20.0
| 16,095
21.9
| 40.7
| 28,357
25.5
| 76.2
| 14,843
25.4
| 83.8
| ||
기타 수입
| 물량(㎥)
점유율
| 34,246
59.8
| 50,147
68.1
| 46.3
| 57,207
51.4
| 14.1
| 21,621
37.0
| 9.8
| ||
유리장섬유
총 수 입
| 물량(kg)
금 액
| 124,625
495
| 126,951
438
| 1.9
-11.5
| 126,396
375
| -0.4
-14.4
| 59,826
171
| 32.0
-7.1
| ||
전기다리미
총 수 입
| 물량(톤)
금 액
| 236
2,885
| 382
3,864
| 62.2
33.9
| 422
4,322
| 10.4
11.9
| 163
1,757
| 90.4
106.2
|
주 : 10월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기준
※ 중질섬유판(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 : 밀도가 0.5g/㎤이상 0.8g/㎤이하의 섬유판으로 기계적 가공이나 표면을 피복하지 아니한 판상재로써 가구·악기·건축물의 내장재 등에 쓰이고 있으며, 국내 생산업체는 한솔포렘(주)·(주)유니드· 선창산업(주)· 동화기업(주)·(주)포레스코·대성목재공업(주) 등 6개사 임
작성과
| 산업피해조사과
|
담당자
| 한장섭 과 장 / 김남영 사무관
|
전 화
| 2110-55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