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공급망에서 관세사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실태분석은 Ari-Pekka HAMERI 외 3인(2005)이 국제관세사연맹(IFCBA)과 공동으로 이뤄진 것이다. 설문지는 현 영업환경과 제공하는 업무, 잠재적인 변화 요인-공급망 안전 및 정보교류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관세사의 영업에 대한 장래 추세와 역할의 3개 부분으로 분류됐다.
연구는 주로 현재 영업환경과 제공하는 업무 및 관세사의 영업에 대한 장래 추세와 역할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해 공급망에서 관세사의 역할, 영업환경의 특성, 현재 업무 등 관세사의 실태를 분석하며, 관세사 업계의 장래 전망이 잠재적 업무와 장래 기회영역을 중심으로 제시됐다.
1. 현행 관세사의 역할분석
1)관세사 역할
원칙적으로 기업은 재화가 국경을 통과할 때 두가지 주요 위험, 즉 법규 불준수 비용(non-compliance fees)과 통관리드타임(clearance lead time)의 변경에 직면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업은 관세사에게 의존해 오고 있는데, 관세사는 전통적으로 세관행정에 관해 무역업자의 대리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경을 통과할 때 화물통관에 필요한 모든 활동을 수행한다.
관세사는 국제무역과정에 참여해 적절한 관세율 적용을 위한 품목분류, 필요한 무역문서 확보, 세관당국에 정보제출 및 제세 납부를 위한 업무 등을 수행하며, 운송선택, 운송인 유형, 선적 항로에 대해 수출입업자에게 자문해 준다. 그렇지만 무역업자와 세관의 중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은 이러한 당사자간의 관계를 조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