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8.19. (화)

경제/기업

올 2분기 중견기업 수출, 전년比 3.6%↑…1억 달러 이상 수출 57곳

올해 2분기 중견기업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출 증가율(2.1%)보다 1.5%p 높은 수치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9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중견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중견기업 2분기 수출 규모는 320억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10.8% 반등하면서, 2022년 중견기업 수출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분기 전체 수출에서 중견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0.3%p 늘어난 18.3%로, 3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2분기 수출 중견기업 수는 1천997개로 전년 동기(2천18개) 대비 21개 감소했지만, 수출 1억 달러 이상 중견기업 수는 역대 최대 규모인 57개로 확인됐다.

 

업종별로는 제조 분야 중견기업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281억 달러였지만, 비제조 분야는 3.9% 감소한 39억 달러로 집계됐다.

 

제조 분야에서는 전자부품(87.0억 달러, 5.8%↑), 자동차(38.1억 달러, 5.4%↑), 기계·장비(30.9억 달러, 15.1%↑) 등 업종에서 증가했고, 화학물질(28.4억 달러, 2.4%↓), 전기장비(17.0억 달러, 6.8%↓) 등은 감소했다.

 

비제조 분야는 도소매(28.4억 달러, 2.8%↓), 서비스(4.4억 달러, 12.0%↓) 등 모든 업종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반도체(67.5억 달러, 9.2%↑), 정밀화학(24.2억 달러, 9.9%↑), 철강(18.8억 달러, 1.6%↑), 선박(6.6억 달러, 19.0%↑), 자동차(6.1억 달러, 3.6%↑), 바이오헬스(5.9억 달러, 25.7%↑) 등 품목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아세안(74.3억 달러, 22.8%↑), 중남미(15.3억 달러, 2.9%↑), 인도(10.4억 달러, 15.2%↑)로의 수출이 증가했고, 중국(62.4억 달러, 11.7%↓), 미국(52.9억 달러, 1.4%↓), EU(29.7억 달러, 11.3%↓) 등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국익 중심 실용 외교를 통해 통상 환경을 안정화하는 한편, 수출 지역 다변화, 인력 확보, 기술 혁신 및 리쇼어링, 니어쇼어링 등 중견기업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인 지원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부·국회와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