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09. (금)

경제/기업

현대硏 "여력 갖춘 무주택자 지원 통해 주택 수요 늘려야"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집을 살 능력을 가진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주택 수요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집을 살 여력이 있는 가구란 현재 보유중인 금융자산과 적정 규모의 대출을 재원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가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주택을 구입해도 빚을 갚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을 만큼 탄탄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는 가구다.

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집을 살 여력이 있는 무주택가구를 중심으로 주택마련의 여건을 개선한다면 가장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는 지난해 기준 568만7000 가구로 이들 가운데 55.8%가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들 중 집을 살 여력 있는 무주택가구의 경우 2012년 57.6%에서 지난해 67.5%(143만9000 가구)로 1년 새 9.9%포인트나 증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집을 사려는 무주택가구의 대부분이 전세 주택에 살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들은 상당 규모의 전세보증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매매수요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집을 살 능력이 있지만 전세주택에 머무는 무주택 가구는 95만8000명으로 전체 집을 살 여력이 있는 가구의 95%를 차지했다.

김 선임구원은 "만약 이들 무주택가구가 집을 사면 가계부채는 1384만원에서 9160만원으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154만원에서 580만원으로 늘어나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 채무상환에 큰 부담을 느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들은 매매수요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생애최초주택구입 지원대책의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저금리 공유형모기지를 확대해 주택 구입 여력을 확충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