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사회적 약자기업의 물품이나 용역 등 구매 규모를 3조 6,010억원까지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공공기관 최초로 사회적 약자기업에 대한 구매 목표치를 설정, 대규모 구매에 나선 작년보다도 6% 증가한 수치로, 공공기관 최대 구매력에 해당한다.
26일 서울시가 발표한 사회적약자기업 구매계획에 따르면, 올해 시, 16개 투자·출연기관, 25개 자치구의 일년치 총 구매 규모 중 70% 이상을 사회적 약자기업에서 구매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구매 목표로 정한 전체 제품 구매 규모의 69%인 3조 3,877억원 보다 1,675억원이 더 많은 3조 5,552억원을 구매한바 있으며, 이는 2011년 2조 9,727억원 대비 20%증가한 수치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우선구매 실시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중증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기업, 장애인기업, 자활기업, 여성기업 및 기타 중소기업을 ‘희망기업’으로 정하고, 구매력을 활용해 지원하고 있으며, 마을기업과 협동조합까지 이에 포함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단순히 물품·서비스 등을 구매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약자기업의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다양한 채널의 유통망 구축과 자생력·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 지원프로그램을 투트랙으로 추진, 취약계층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적 기업 등이 추구하는 착한 가치들이 우리 사회에 확산되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이를위해 서울시는 제품 구매지원에 있어 시는 작년 구매실적을 분석해 '중점관리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를 늘려 파급효과를 최대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함께 주요 구매 품목 중 희망기업의 진입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 납품을 유도하고, 한 기업에서 대규모 생산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대규모 구매라도 쪼개어 구매할 수 있는 건에 대해서는 여러기업으로 분리 발주를 추진하는 한편, 품목에 대해서는 중점관리기업의 제품만을 구매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서울시는 또, 사회적 약자기업의 자생력 강화와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종합지원책으로는 입찰 탈락 기업 실패원인 분석·지원, 연간 구매 정보 사전 공개, 공공구매지원센터 설치 및 온라인·모바일·케이블 채널 활용한 유통판매망 확대와 더불어 희망 서울 구매 엑스포 개최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 공공구매 입찰에 탈락한 희망기업별 입찰 탈락원인을 분석하고, 취약부분을 보완해 공공구매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정책도 상반기 중 가동할 계획이다.
강종필 서울시 재무국장은 “서울시의 구매력(Buying Power)을 희망기업, 특히 중점관리기업에 집중함으로써 사회적 약자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겠다”며 “여기에 민간기업과 시민들이 구매할 수 있는 유통판매망을 확대해 희망기업들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