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7.02. (수)

기타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로 7년만에 상향

동일년도에 3개 신용평가사 모두 등급을 상향조정 '한국이 유일'

S&P는 14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상향조정했다. 지난 05년 7월 'A-'에서 ‘A'로 등급 상승이후 7년만의 등급조정이다.

 

S&P는 북한 리스크 축소, 우호적인 정책 환경, 재정건전성 강화 및 양호한 順대외부채 수준을 등급 상향 사유로 제시했다.

 

북한의 원만한 권력승계로 갑작스런 붕괴 등 급변위험이 감소했고 글로벌 경기침체로 ‘12년~13년간 평균 실질 GDP 성장률이 2.8%로 예상되는 등 경제지표가 둔화되고 있으나, 효율적·안정적이며 예측가능한 정책결정과정이 성장촉진·내수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또한, 2000년 이후로 거의 모든 해에 일반정부 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금년 부채수준은 GDP 대비 21%로 추정돼 낮은 順대외부채 및 경상수지 흑자를 기반으로 대외 위험에 대한 정책여력을 확보한 것이 등급상향 배경으로 제시됐다.

 

S&P측은 향후 몇 년간 지속가능하고 강한 성장을 통해 1인당 GDP가 제고되거나, 단기차입 축소로 은행 시스템이 강화되는 경우 등급을 추가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북한의 정정 불안이 북한 체제 붕괴나 안보 불안을 유발하거나, 자산 건정성 저해로 인해 금융시스템이 크게 저해되는 경우 등급 하향조정 가능성의 여지도 남겼다.

 

정부 관계자는 “주요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추세 속에서 3개의 신용평가사가 우리 신용등급을 모두 상향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며 지난해 이후 A레벨 이상 국가들중 동일년도에 3개 신용평가사가 모두 등급을 상향조정한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밝혔다.

 

특히 “국제적으로 과거 외환위기로 인한 ‘낙인효과(stigma)'에서 완벽하게 탈피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금번 신용등급 상향조정은 여러 측면에서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