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전국 항만의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0.8% 감소한 178만6천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09년 10월 이후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별 물동량 증가율이 감소로 전환됐으며, 환적화물은 2010년 10월 이후 22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국토해양부는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대내외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8월말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전국 항만이 약 2일간 입출항이 통제되면서 이에 따라 물동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수출입화물은 중국경제의 위축, 내수부진 등으로 수출입 실적이 저하된 가운데,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상승(1.2%)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환적화물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북중국 환적화물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증가세는 다소 둔화돼 지난해 8월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부산항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9% 감소한 135만6천TEU를, 환적화물은 64만5천TEU(-1.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양항은 중국의 석유화학제품의 재고 소진에 따라 對중국 수출 증가(39.0%) 등에 힘입어 수출입화물은 9.2% 증가했지만, M사의 부산항 환적 집중 등에 따라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2.5% 증가한 16만8천TEU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천항은 처리비중의 약 60%를 차지하는 중국(-6.7%) 등의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7.6% 감소한 14만8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중국 등 주변 항만 동향, 해운․항만 여건변화를 지속 점검하고,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한 물량 창출 등 항만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