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반기 산업경기는 유럽 재정위기 등 선진국 경제의 불안요인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제의 진폭확대 등이 보다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업종별로는 유럽 경기의 영향에 민감한 조선, 선진국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자동차 등의 전망이 특히 어두운 가운데 철강, 기계, 건설, 석유화학 등의 업황도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전자, 반도체는 비교적 선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전망은 전경련이 13일 개최한 ‘2012년 하반기 산업전망 세미나’에서 예상된 가운데, 하반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가중 및 중장기적으로도 위험요인이 산재해 있어 경기회복의 악재가 될 전망이다.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에서 한상완 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하반기 유로존 내 금융시장 불안 및 유로존 붕괴 우려가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중국의 경기 둔화와 일본의 재정적자 확대 또한 잠재적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아시아의 부상, 고령산업 성장 등 기회요인도 존재하지만, 신자유주의의 위기 및 글로벌 경제의 진폭 확대, 그리고 에너지 위기 및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등이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한편, 박원주 지식경제부 국장은 이처럼 국제경기여건이 지극히 불투명한 상황에서 우리 산업의 건전한 생태계와 내수시장을 복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됐다고 지적하며, 향후 상생형 기업협력으로 양극화와 대내외 위기를 극복해 가야 한다고 밝혔다.
업종별 전망에 있어, 조선 산업은 선박 수주 실적이 2013년 이후에나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하반기 경기에 먹구름이 낄 것으로 예상됐으며, 해양 플랜트 부문 역시 드릴십 발주가 둔화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등 그동안의 시장 부진을 극복할 마땅한 대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산업 역시 하반기에도 큰 폭의 소비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철강 산업은 하반기 중국 철강업체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감산과 중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에 따른 수요 발생으로, 철강재 가격 및 업황 반등이 예상됐다.
다만, 여전히 경기 불확실성이 남아있고 아시아지역 내 경쟁심화, 국내증설의 파급효과 등은 향후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됐다. 기계 산업은 중국 모멘텀이 이제 종료 단계에 접어들어, 향후 시장성장이 미국 및 유럽 등 선진시장과 이머징마켓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전자 산업의 경우 휴대폰의 경우 LTE 스마트폰을 위시한 스마트폰 성장률이 30%에 달하는 등 스마트폰 위주의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TV 역시 유로 2012, 런던올림픽, 디지털 방송 전환 등 기회요인에 힘입어 '11년 제로성장에서 '12년 3%대 성장이 기대된다.
이승철 전경련 전무는 “최근 경제적으로 대내외 위협요인이 산재해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권의 포퓰리즘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어려운 환경에서도 선전해온 우리 기업들이 하반기에도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