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5일 사퇴한 황성현 조세연구원장의 후임 인선이 오는 9월 초에나 이뤄질 것으로 보여, 3개월 가량의 원장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무총리 산하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지원·육성하고 있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는, 7월 17일 전·후 신임조세연구원장 초빙공고를 실시해 9월3일자로 원장선임 작업을 완료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관심을 모으고 있는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통·폐합 작업과는 별개로 원장 초빙공고가 이뤄지고 있어, 신임 조세연구원장 공고가 조세연구원의 존치를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오는 18일까지 실시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등 6명의 신임원장 공고 역시, 이들 기관의 존치여부와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총리실은 23개 정부출연기관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23개 국책연구기관의 개편방안과 관련해 용역을 의뢰해, 6월 말경 용역 결과를 토대로 개편작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들 연구기관의 통폐합 작업은 장기화 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연구기관직원들은 통·폐합이 될 경우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그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이다.
아울러 국책연구기관의 통폐합 여부를 알수 없는 상황에서 신임 원장 공고가 이뤄지고 있어 혼란스럽다는 입장을 보이는 한편, 원장 선임이후 연구기관이 통·폐합 될 경우 이들 원장의 거취문제에 대해서도 우려는 나타내고 있다.
한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관계자는 “국책연구기관의 신임원장 공고는 원장공백에 따른 일반적인 후속 조치로서, 이들 연구기관의 통폐합 여부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