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가짜 학위 산업이 번창해 학력 사기에 관한 우려를 넘어서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문제로까지 떠오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연방 수사당국이 3년간의 조사를 거쳐 기소해 7월2인 법원의 선고를 앞두고 있는 가짜 학위 판매업체 운영자인 스티븐 랜독 부부 사건을 소개하면서 '학위 공장'에 대한 우려를 이같이 전했다.
법정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워싱턴주에 사는 랜독 부부는 1999년부터 6년간 121개에 달하는 가짜 대학 이름으로 학위를 팔고 다른 대학의 학위를 위조해오다 2005년 적발됐다. 시리아의 비밀요원에게 가짜 학위를 만들어 판매한 것이 걸린 직후였다.
랜독 부부는 이 기간에 세계 131개 국가의 수요자들에게 1만개가 넘는 가짜 학위를 팔았고 이를 통해 700만달러 이상을 벌었다고 수사당국은 밝히고 있다. 돈만 주면 누구이던 간에 학위를 만들 수 있었던 셈이다.
미국에 얼마나 많은 '학위 공장'이 있는지, 얼마나 많은 가짜 학위가 판매되는지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미 고등교육인정위원회(CHEA)의 조지 골린 이사는 가짜 학위 업체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이들이 연간 10만~20만개의 가짜 학위를 판매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가짜 학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는 지난 2004년 회계감사원(GAO)이 2% 정도의 연방 정부 공무원들을 조사한 보고서에서 463명이 3개의 학위 공장에서 가짜 학위를 샀음을 발견한 것에서도 나타난다.
이 중 절반 이상은 국방부에서 일하고 있었고 국방부 인력을 감독하는 부차관도 포함돼 있었다.
또한 랜독 부부가 가짜 학위를 만드는데 사용한 한 대학의 고객에는 350명의 연방 정부 공무원과 14명의 뉴욕시 소방관 등이 포함돼 있었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가짜 학위 산업의 성장세 뿐 아니라 테러 용의자들이 가짜 학위를 이용해 미국 비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사법당국 관계자들은 가짜 학위 사업체를 처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고 있다.
2006년에 의회가 온라인 대학들이 최소 교과과정의 절반 이상은 실제 강의실에서 해야 한다는 요건을 없앤 것도 가짜 학위 사업체 적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신문은 미국의 약 20개주가 법으로 가짜 학위를 거래하는 것을 척결하도록 하고 있지만 가짜 학위 사업체들은 장소만 다른 곳으로 옮기면 된다고 전했다.(연합뉴스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