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블랙프라이데이·중국 광군제 등 해외직구 급증 시기에 맞춰 상습적으로 직구 상품을 되파는 전문적 관세사범에 대한 단속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공개한 관세청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블랙프라이데이·광군제 시즌인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해외직구 건수는 총 1만2천681건으로 연간 건수 기준 29%(4만2천934건)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해외직구 건수는 총 1만301건으로 연간 건수 기준(3만4천316건)의 30%를 차지했다.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영향으로 연말에 직구 수요가 급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규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김정우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해외직구 관세사범 적발금액은 43억원이며, 적발 건수는 95건으로 나타났다. 김정우 의원은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기간 동안 저렴하게 직구한 물품을 되파는 행위는 밀수입으로 처벌될 수 있어 지속적인 홍보와 계도를 병행해 나가야 한다"며 "관세청은 외국물품을 상습적으로 분산 반입해 되파는 행위에 대해 통신판매자 뿐만 아니라 통신판매 중개자(오픈마
서울지방국세청이 롯데칠성음료에 부과한 추징금액이 당초 493억원에서 495억9천여만원으로 늘었다. 롯데칠성음료는 2015~2018년분 추가예상세액 2억9천600여만원을 반영한 495억9천여만원의 추징금을 26일 정정공시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달 5일 서울지방국세청이 2013~2018 사업연도 분 법인세 등 세무조사를 실시해 493억여원을 부과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번 추징금은 자기자본 대비 4.01%에 해당하며, 롯데칠성음료 측은 일부 쟁점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검토 후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말 종료 예정인 생산성향상시설 및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2024년까지 5년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은 26일 이같은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법 제25조 및 제25조의4에 따르면 내국인이 공정 개선시설, 첨단기술시설 등 생산성향상시설에 투자하거나,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투자하는 경우 각각 투자금액의 일정비율을 소득세 및 법인세에서 공제해주고 있다. 이 특례는 올해말 종료될 예정이다. 오제세 의원은 "기업경쟁력 강화와 국내 의약품 품질관리체계의 선진화를 위해 생산성향상시설 및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발의배경을 밝혔다. 이어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 무역분쟁의 장기화 등으로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만큼, 세제지원 등 정책적 고려가 없이는 기업의 적극적 투자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오제세 의원은 지난 25일 해외에 거주하는 내국인 우수인력의 국내 복귀 지원을 골자로 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국외에서 3년 이상 거주하면서 연구 및 기술개발
대전세관(세관장·임병철)은 26일 금산인삼시장을 방문해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인삼 및 한약재에 대한 원산지표시 방법 등을 홍보했다. [사진1] 대전세관은 이달 27일부터 열리는 제38회 금산인삼축제를 앞두고 열린 이날 홍보행사에서 소비자들이 믿고 살 수 있는 전통인삼시장을 만들기 위해 한약재 등에 원산지 표시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상인들에게 원산지표시 가이드 리플렛을 배포하는 등 수입물품의 원산지 표시방법을 적극 안내했다. 대전세관은 "축제기간 한약재 수요가 많은 시기를 틈타 일부 상인들의 원산지표시를 위반하는 행위가 급증할 것을 우려해 홍보활동에 나섰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올바른 원산지표시제도 정착과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본부세관(세관장 이찬기)은 26일 전유경 관세행정관을 '9월의 인천세관인'으로 선정, 시상했다. [사진1] 전유경 관세행정관은 대형 위조물품 밀수입의 경우 허위 사업자와 대포폰 등을 사용해 신분을 은닉하고 화물이 세관 검사대상으로 선별되는 순간부터 증거인멸에 돌입한다는 점에 착안, 신속한 압수수색으로 중국 공급책부터 운송·통관책, 인수책, 국내화주까지 밀수가담자 총 6명 전원 검거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업무 분야별 유공자로는 차량형 X-Ray검색기(ZBV) 검사로 컨테이너에 은닉해 밀수출하려던 외제 차량을 적발한 김진호 관세행정관을 수출입통관분야 유공자로 선정했다. 또한 휴대품통관분야 유공자로 여행자 휴대품 자진신고 등 신고서 작성방법 안내문을 알기 쉽게 제작·배포해 성실신고문화 정착에 기여한 이혜경 관세행정관을 뽑았다. 아울러 심사분야 유공자로 다국적 주류 수입업체 관세조사로 분쟁없이 200억원을 추징한 윤성진 관세행정관을, 중소기업지원분야 유공자로 한-미 FTA 검증대상 수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업무지원으로 원산지 불충족 위험 해소에 기여한 류혜란 관세행정관을 각각 선정했다. 세관장표창의 영예는 여행자 수하물 X-Ray판독으로 코카인 4.5kg(시가
금융위원회는 휴대폰 소액결제 데이터 분석·대출심사와 소상공인 관련 데이터 분석·대출심사 관련 총 2건의 서비스를 지정대리인으로 추가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지정대리인제도는 핀테크기업이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카드발급 심사, 보험계약 변경 등 핵심업무를 위탁받아 최대 2년간 혁신적 아이디어를 시범운영해 볼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번에 지정된 2건의 지정대리인 서비스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및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 평가 및 대출심사시 활용하는 서비스다. 금융위는 금융이력이 부족한 사회초년생 및 영세 소상공인 등에 자금조달 기회를 확대하고 금리부담 완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다날은 OK저축은행과 휴대폰 소액결제 데이터 분석 및 대출심사업무 서비스에, 펀다는 중소기업은행과 소상공인 관련 데이터 분석 및 대출심사 서비스에 나선다. 한편 이번 지정대리인 서비스 22건 중 스몰티켓(한화손해보험), 집펀드(SBI저축은행) 빅밸류(하나은행)등 3건은 업무위탁 계약이 체결됐다. 앞으로 10월말까지 7건, 올해말까지 4건의 업무위탁 계약이 추가 체결될 예정이다. 금감원은 "최근 지정된 6건은 현재 업무위탁 계약 체결을 협의 중이라며 "현장 간담회 및 컨설팅을 지속해
이달 등록신청한 23개 회계법인은 12월, 내년 1월 결과안내 빅4 등 20개 회계법인이 상장회사 감사인으로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 6월까지 등록을 신청한 회계법인 중 20개 회계법인이 1차 등록했다. 지난 2017년 외부감사법 개정으로 상장회사 감사인 등록제가 도입됐다. 내년부터 상장회사를 감사하려는 회계법인은 등록요건을 갖춰 금융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이번 1차 등록에서는 삼일, 삼정, 한영, 안진 등 빅4 회계법인을 비롯해 삼덕, 대주, 신한, 한울, 우리, 이촌, 성도이현, 태성, 인덕, 신우, 대성삼경, 서현, 도원, 다산, 안경, 예일회계법인이 등록했다. 이번에 등록된 회계법인은 내년 주기적 지정제(직권지정 포함) 상장회사 감사인으로 선정될 수 있고, 그 외 상장회사와 자유수임도 가능하다. 주기적 지정제는 감사인을 6년 자유수임한 후 3년간 증선위가 지정하는 것을 말하며, 금융위는 다음달 14일 약 220개 회사에 대한 지정 감사인을 사전통지할 예정이다. 상장회사 감사인은 등록된 이후에도 등록요건을 유지해야 하며 등록요건을 유지하지 못하면 등록이 취소될 수 있다. 금융위는 이달까지 등록을 신청한 나머지 23개 회
중기부 선정 'TIPS' 운영사인 더존홀딩스 컨소시엄에 협력기관으로 참여 비즈니스 플랫폼·창업보육센터 기반으로 투자·기술개발 등 전 과정 지원 (주)더존비즈온(대표·김용우)은 지주회사인 더존홀딩스와 협력해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집중 투자, 육성에 나설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더존홀딩스 컨소시엄을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의 신규 운영사로 선정했다. 컨소시엄에는 더존비즈온과 키컴을 비롯해 강원도청,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테크노파크,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했다. TIPS는 미래 유망 스타트업을 민간 주도로 선발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창업 활성화 프로그램이다. TIPS 운영사가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에 선투자하고 보육, 추천하면 이후 정부가 심사를 통해 R&D 및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매칭해 지원하는 구조이다. 선정된 TIPS 운영사는 정밀 실사를 거쳐 기관별로 창업팀 추천권을 배정받아 본격적으로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 활동에 나서게 된다. 더존비즈온은 더존홀딩스를 도와
인천공항으로 입국하는 마약·테러 등 우범여행자에 대해 영상인식 카메라를 이용해 추적·감시하는 우범자추적시스템의 장애 발생으로 우범여행자 추적 기능 악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관세청으로 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우범여행자 추적시스템 장애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범여행자 추적시스템 장애 발생이 총 425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장애 발생 현황을 보면 2016년 136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2017년 105건, 2015년 71건, 2017년 64건 순으로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다. 특히, 2006년 11월 T1 시스템(약 12.6억원)을 처음 구축한 후 2017년 11월 T2 시스템(약 29.4억원)을 추가로 구축하였고, 2019년 1월에는 노후화된 T1 시스템(약 44억원)을 재구축하는 등 우범자추적시스템에 많은 예산을 투여했음에도 장애 발생이 끊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2017년 신규 구축한 T2 시스템에서는 54건, 2019년 재구축한 T1시스템에서는 23건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장애발생 주요 사유로 24시간 운용에 따른 노후 기기(CC
최근 일부 상장기업들이 역외탈세 혐의로 세무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역외탈세에 대한 추징세액이 연간 1조3천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연간 역외탈세 세무조사 건수는 226건, 조사 결과에 따른 추징세액은 1조3천37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4년 이후 역외탈세 세무조사 건수는 연간 220~240건으로 매년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조사 결과에 따른 부과세액(추징세액)은 매해 소폭 증가해 왔다. 부과세액 대비 징수율도 83.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진 의원은 "일부 기업들이 계열사 내 해외법인과 수출입거래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조세를 회피하고 있는데, 그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가간 소득이전을 통한 조세회피에 국세청이 보다 적극적으로 세원포착과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 최근 5년간 역외탈세 조사 및 추징 현황(건, 억 원, %) (자료 : 국세청) 연도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조사건수 226 223 228 233 226 부과세액 (추징세액) 12,179
최근 5년간 체납세금 소멸시효 따른 세금 면제자 1,965명 시효 경과 따른 세금면제율 2016년 4.1%➜2018년 5.2%로 급증 최근 5년간 납부할 세금의 소멸시효가 경과돼 세금을 면제받은 체납자가 1천965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납에 따른 출국금지 조치도 소멸시효로 인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심재철 의원(자유한국당, 사진)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체납자 출국금지 및 출국금지 해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2018) 세금 체납으로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체납자는 누적기준 총 1만5천512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소멸시효 경과로 세금부과가 취소되고 출국금지까지 해지된 체납자는 1천965명에 달했다. □ 체납자 출국금지 현황 및 체납액 누적현황(단위: 명, 억원)(자료:국세청) 연도 2014 2015 2016 2017 2018 출금자 3,705 4,485 8,095 11,763 15,512 체납액 73,616 109,679 207,373 236,816 331,405 같은 기간 출국금지자의 체납 누적액은 33조1천405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세금 납무의무가 소멸된 사람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어 소멸시
작년 4월부터 해외서 600달러 초과 카드사용시 실시간 세관 통보 우리나라 여행객이 작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해외에서 면세한도를 초과해 신용카드를 사용한 금액이 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2년간 해외 신용카드 600달러 이상 사용내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17개월간 600달러 이상 해외 신용카드 사용은 352만6천276건으로 금액은 총 42억5천610만달러였다. 원/달러 환율 1,180원 적용시 우리돈으로 약 5조222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당 평균 142만원이었다. 정부는 작년 4월부터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건당 600달러(여행자 면세한도) 이상 물품을 구매하거나 현금을 인출하는 경우 여신전문금융업협회가 개인별 해외사용 내역을 관세청에 실시간으로 통보하도록 법을 개정했다. 세관은 이를 입국시 과세 검사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사용 건수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57만3천957건(1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 40만9천890건(12%), 영국 29만583건(8%), 싱가포르 23만4천34건(7%), 중국 19만7천951건(6%) 순이었다
김경협 의원,조특법·소득세법 개정안 발의 감면 종합한도도 최대 3억원까지 늘려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되는 토지 중 대토, 개발제한구역 보상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율을 높이고 한도를 상향하고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경협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은 25일 이같은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과 소득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조특법 개정안은 대토보상의 감면율을 80% 수준으로 높이고 대토보상권을 리츠에 현물출자하면 양도세를 감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경우 양도세 감면 적용기한을 2021년 말로 연장하고 지정일 이전에 취득해 거주하면 100%, 사업인정고시일 20년 이전이면 65%의 감면율을 적용받도록 했다. 양도세 감면 종합 한도는 1억원으로 상향했다. 소득세법 개정안은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되는 경우 기존 최고 30%의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60%로 높이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정부는 공익사업으로 인한 토지수용시 지급하는 토지보상금에 대해 보상 방법에 따라 양도세를 감면해 주고 있다. 그러나 과거 신도시 사업이 추진될 때와 비교해 양도세 감면율이 크게 감소해 형평성 논란이 발생했다. 또한 보상이 공시지가를 기준으
지난 3년간 기재부 등 9개 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가 1천800여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한국재정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기획재정부 등 9개 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진 해킹시도는 총 1,802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 집계된 해킹시도만 798건으로, 이미 작년 해킹시도 건수인 531건을 훌쩍 넘어섰다. 9개 기관은 기획재정부, 한국재정정보원, 조달청, 통계청, 관세청, 한국은행, 수출입은행, 투자공사, 조폐공사 등이며, 정보원 사이버보안센터가 해킹 대응을 위해 24시간 보안관제를 수행하고 있다. 기관별 해킹시도 건수는 한국조폐공사 486건(27%), 한국투자공사 446건(25%), 기획재정부 345건(19%), 한국수출입은행 156건(9%), 한국은행 136건(7%), 조달청 100건(6%), 관세청 78건(4%), 통계청 45건(2%), 한국재정정보원 10건(1%) 순이다. 분야별 위협탐지 건수를 살펴보면, '웹접근시도'가 603건(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웜/바이러스' 570건(32%), '유해IP주소' 569건(32%), '스캐닝' 33건(2%),
세무수첩 기본형 개별상호 주문접수는 내달 31일까지 한국세무사회(회장·원경희)는 '2020년 세무달력·다이어리·수첩'의 주문접수가 지난 20일에 총 127만부로 마감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주문접수는 세무달력 등 개인상호 인쇄에 대한 주문량이 집계된 것이다. 다만 세무수첩 기본형은 개정세법 내용을 반영해 제작하므로 다음달 31일까지 개별상호 주문 접수가 가능하다. 개별상호 접수가 끝난 관계로 세무달력·다이어리 등의 품목은 이후부터 '한국세무사회'가 인쇄된 낱개 주문만 가능하다. 한국세무사회가 제작·공급하고 있는 '탁상용 카렌다'에는 세무사와 세무사사무소 직원들이 참여하는 사진공모전을 통해 채택된 작품들로 구성된다. 지난해에 이어 금년에도 우수작으로 선정된 13편의 작품이 배경이미지로 활용돼 카렌다 주문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탁상용 카렌다 3천부를 주문했던 이병렬 세무사는 "시중에 판매되는 카렌다에는 천편일률적인 배경 이미지가 사용돼 식상한 느낌이 있었는데 한국세무사회가 제작한 카렌다에는 수려한 배경 이미지를 수록해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면서 "올해에도 많은 작품이 출품되고 그 중에 출중한 작품이 선정됐다고 하니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김관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