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9 會計年度를 대상으로 -
□ 주식회사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이하 '외감법'이라 한다)에 의한 외부감사대상회사(1999년 1월 ~ 12월 결산법인)로서 증권선물위원회(이하 '증선위'라 한다)에 제출된 6,541개의 개별감사보고서와 360개의 연결감사보고서를 대상으로 감사의견 및 특기사항 등을 분석함
ㅇ 분석결과 '97년 말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로 인한 기업의 부도 및 구조조정 등으로 인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 및 투명성 제고가 국가적인 중요과제로 등장함에 따라 감사보고서의 내용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
ㆍ 기업의 부도등으로 인하여 '97년이후 계속해서 감사보고서 제출 회사수가 감소함
ㆍ 감사보고서 특기사항에는 '98년에 이어 전반적인 경제위기에 따른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에 대한 내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우리나라 기업들이 직면한 미래의 불확실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음
ㆍ 또한, 회계처리변경등에 대한 특기사항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98년 12월 11일 개정된 기업회계기준 적용에 따른 것임
ㆍ '99년도에는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의문으로 인한 한정이하의 감사의견(한정, 부적정 및 의견거절)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97년이후 경기침체에 따른 한계기업의 부도로 인하여 계속기업에 대한 감사가 강화된 결과임
□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이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하여야 함
ㅇ 이를 위하여 현재 금융감독위원회에서는 '99년부터 1단계로 서면공시제도와 병행하여 상장법인등의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 포함)등에 대한 전자공시제도를 실시하였으며, 2000년부터는 비상장법인에 대해서도 확대 실시하고 있음
ㅇ 2001년부터는 외부감사대상회사의 감사보고서를 포함한 공시서류의 전자공시가 의무화됨에 따라 외부이용자의 회계정보에의 접근이 보다 용이해질 것임
ㅇ 이 제도가 정착되면 감사의견등에 대한 더욱 심도있고 광범위한 분석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회계정보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좋은 방안들이 마련될 수 있으리라 기대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