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06. (토)

내국세

[국세청] 납세자 위주의 주요세법령 해석 전면정비

           
                       

 

                       
                       

                

                   
                       
                                         

                                                                

                                                                                   
                                   


1.                                            추진개요
                                           

 □                                            종전 세법령 해석체계의 문제점

 

                                           

  ○                                            국세예규 및 기본통칙 등의 세법령                                            해석은 국세공무원의 세법집행시 준칙이                                            될 뿐만 아니라, 납세자의 세무신고                                            등에 있어서 사실상의 기준이 되므로                                            납세자에게도 큰 영향을 미침

 

                                           

  ○ 종전                                            예규 등의 내용을 보면 국고주의적이거나                                            행정편의적이어서 세정환경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해석기준이 불명확하거나                                            일관성이 부족하며, 법원판례 등과                                            상치되는 사례도 적지 아니하였음

 

                                           

  ○ 또한                                            그 형식면에서는 질의회신·집행례                                            등으로 다양하게 산재해 있을 뿐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아니하여 납세자는 물론                                            국세공무원 조차도 특정사안에 대한                                            해석기준을 신속·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아니하였음

 

                                           

 □                                            개선방향

 

                                           

  ○ 국세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예규·기본통칙 등                                            세법령해석을 합리적이고 납세자 편의위주로                                            전면 정비하면서

 

                                           

  ○ 납세자가                                            찾아보기 쉽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세법별로 해석편람을 발간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세법별                                            기본통칙을 개편함

 

                                           

 □                                            세법별 정비일정

 

                                           

  ○ 1단계로                                            2000년 12월말까지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조세범처벌법, 조세범처벌절차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원천징수, 국제조세,                                            상속세및증여세법, 부가가치세법,                                            특별소비세법 등 11개 주요세법의                                            해석편람 발간 및 기본통칙을 개편

 

                                           

  ○ 2단계로                                            2001년 3월말까지 조세특례제한법,                                            양도소득세, 주세법 등 소비제세법의                                            해석편람 발간 및 기본통칙을 개편

 

                                           

 □                                            추진경위

 

                                           

  ○ 2000.                                            2월 2000년 국세청 업무계획에 법령해석                                            전면정비방안 마련

 

                                           

  ○ 3.                                            17 법령심사협의회 심의를 거쳐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국세청내에  '법령해석정비기획단'(단장:법무심사국장)을                                            구성하여 정비업무 착수

 

                                           

  ○ 11∼12월에                                            1단계 법령해석정비를 마무리하고                                            재경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세법해석편람』발간

 

                                           

  ○ 현재                                            세법해석편람에 수록된 해석사례를                                            전산화하여 국세청 인트라넷에 수록,                                            시범가동중   2001년 상반기중                                            국세청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

 

                           

2. 해석사례의                            구체적인 정리·정비 및 전산화 내용

 

                           

 □ 해석사례의                            정리

 

                           

  ○ 개별 질의회신,                            집행례 등 기존의 해석사례를 전부 수집하여 분석·정리
     -                            해석사례를 조문별·주제별로 분류
     -                            그 중에서 법령적용의 기준이 될만한 사례를 선별·정리요약·체계화

 

구   분

 

당초질의회신

 

·집행례 건수

 

편람수록

 

건수

 

편람쪽수

 

 

24,472

 

6,142

 

2,368

 

     국세기본법

 

      700

 

   313

 

244

 

국세징수법

 

465

 

213

 

조세범처벌법

 

75

 

68

 

조세범처벌절차법

 

24

 

24

 

소득세법

 

2,026

 

579

 

213

 

법인세법

 

5,000

 

1,486

 

527

 

원천징수

 

1,990

 

234

 

115

 

국제조세

 

634

 

478

 

187

 

상속세및증여세법

 

3,144

 

578

 

233

 

부가가치세법

 

9,500

 

1,987

 

681

 

특별소비세법

 

914

 

182

 

168

 

                           

 
 
□                            해석사례의 정비

 

                           

  ○ 전경련,                            중기협 등 사업자단체,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개선의견(35건)과                            실무 국세공무원의 개선건의(194건)를 수렴

 

                           

  ○ 주요 정비사례

 

                           

     -                            국고주의적이거나 행정편의적 해석을 납세자 중심으로                            개선

 

                           

     -                            세정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석

 

                           

     -                            판례 등과 부합하지 아니한 해석 변경

 

                           

     -                            해석기준이 불명확한 것을 명료하게 정비

 

                           

  ○ 중요한                            사항은 법령심사협의회 심의 또는 재경부 질의 결과에                            따라 정비하고, 여타사항은 자체 정비

 

                           

(단위 : 건수)

 

 

주 요   정 비

 

기타정비

 

소계

 

납세자편의
위주의 해석
개선

 

세정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석

 

판례 등과

 

부합하지 않는
해석변경

 

불명확한 해석을
명료하게 정비

 

764

 

85

 

21

 

24

 

23

 

17

 

679

 

                           


 □ 정비된 해석사례의 전산화

 

                           

  ○ 정비된                            해석사례를 다수 납세자가 신속히 찾아보고 근거 법령조문                            또는 다른 해석사례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전산화하여                            국세청 인터넷 등에 게재 작업 추진

 

                           

  ○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간편한 검색경로 설계

 

                           

     -                            법령정보 ⇒ 세법명 ⇒ 해당조문 ⇒ 해석편람순 검색방법과

 

                           

     -                            해석편람 ⇒ 근거법령 조문 검색방법 병용

 

                           

     -                            특정 주제어로도 다양하게 해석사례 검색이 가능토록                            조치

 

                           

 □ 기본통칙 개편

 

                           

  ○ 상속세및증여세법,                            부가가치세법은 재경부 승인 필

 

                           

  ○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특별소비세법은 개편안을                            마련, 승인요청하여 재경부 검토중
 

 

                           

3. 해석편람의 발간

 

                           

 □ 수록된 해석사례의 구성내용

 

                           

  ○ 관리번호를                            법조문 - 주제별분류번호 - 일련번호 체계로 부여

 

                           

  ○ 당초의                            유권해석을 바탕으로 질의 및 회신의 내용을 구분하지                            않고 이를 포괄하여 요약정리

 

                           

  ○ 당해                            해석사례 정리의 기초가 되는 질의회신번호와 직접                               관련되는 근거법령조항을 부기

 

                           

 □ 편집체계

 

                           

  ○ 세법별로                            별도의 단행본으로 발간

 

                           

     -                            다만, 원천징수, 국제조세는 별도의 단행본 편람으로                            발간

 

                           

     -                             국세기본법·국세징수법·조세범처벌법·조세범처벌절차법은                            이들 편람을 묶어서 하나의 단행본으로 발간
 

 

                           

4. 해석편람의 사후관리 및 기대효과

 

                           

 □ 해석편람 및 전산수록자료                            관리

 

                           

  ○  당해연도                            세법령 개정이 끝나는 매년 3-4월중에 세법개정·                             신규 질의회신 및 판례 등을 반영하여 편람 및                            전산자료 보완

 

                           

  ○ 연도 중                            개별세법의 주요 개정이 있거나 주요해석사례의  변경이                            있는 경우 해석편람 및 전산수록자료를 수시 보완

 

                           

 □ 해석편람 활용에 따른                            기대효과

 

                           

  ○ 국세공무원의                            법령질의회신 및 상담, 조사, 자료처리, 감사 등의                            각종 업무처리와 관련한 세법적용시 객관성 및 통일성을                            기함

 

                           

  ○ 납세자가                            세법해석에 의문이 있을 때 손쉽게 유권해석을 찾아서                            대처할 수 있음

 

                           

     -                            종전에는 납세자 스스로 해석기준을 찾기가 힘들어                            납세서비스센터나 세무사 등 세무전문가의 자문부터                            구하는 것이 관례이었으나

 

                           

     -                            앞으로는 납세자도 특정 세법조항에 관한 해석기준을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 세법해석편람의 해당 주제 중에서                            관련 해석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음

 

                           

     -                            따라서 해석편람에 수록된 사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법질의 상담이 있는 경우 당해 해석편람의 해석사례를                            참고하도록 회신하고 그 복사본을 첨부할 계획임

 

                           

     -                            질의·상담을 원하는 납세자는 사전에 해석편람에                            해당사례가 있는지 확인한 후 질의하도록 홍보중임

 

                           

 □ 법령상 미비점의 보완                            건의

 

                           

    금년 상반기                            중 과세기준이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하여 세법령 개정이                            필요한 사항은 보완방안을 마련하여 재경부에 건의

 

                       
                                         

                            

                                                                                   
                                   


                                            요  약

□                                            국세청은 국세행정개혁의 일환으로                                            행정편의적인 예규나 기본통칙 등의                                            세법해석을 납세자 위주로 전면 정비한 결과                                            지난해 말 국세기본법·소득세법·법인세법·상속세및증여세법·부가가치세법                                            등 11개 주요세법의 해석정비를                                            완료하고 총 8권, 2,368쪽의『세법해석편람』을                                            발간하였음
 
                                           

□ 그동안 이를                                            위해 '법령해석정비기획단'을 발족시키고                                            전경련·중기협 등 납세자단체와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개선의견을                                            수렴하여 행정편의적인 해석, 세정환경변화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필요한 것, 판례                                            등과 부합하지                                            아니한 것, 해석기준이 불명확한 것                                            등을 중심으로 정비하였음

 

                                           


□ 종전에 질의회신                                            등으로 산재해 있어 찾아보기 힘들던                                            세법 해석사례 24,500여건 중 법령적용의                                            기준이 될만한 사례 6,142건을                                            선별한 후, 조문별·주제별로                                            분류·체계화하여 해석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납세자가 세법해석에 의문이                                            있을 때 손쉽게 찾아서 대처함은 물론,                                            세법적용에 있어서 객관성 및 통일성도                                            기할 수 있게 되었음

 

                                           


□ 국세청은 조세특례제한법·양도소득세·소비제세법                                            등 여타의 세법해석정비를 3월말까지                                            완료하고, 활용도 제고를 위해                                            세법해석편람을 전산화하여 금년 상반기중에                                            국세청 인터넷 홈페이지(www.nts.go.kr)에도                                            게시할 예정임

 

                                           


□ 또한 금년의                                            후속사업으로서 과세기준이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하여 세법령 개정이 필요한                                            사항은 보완방안을 마련하여                                            재경부에 건의할 계획임

 

                                           


□ 『세법해석편람』은                                            1월 중순 이후에 정부간행물 판매처에서                                            낱권 또는 한질 단위로 실비 구입할                                            수 있음
 

 

                           

<참 고>                            세법해석 정비사례
 

 

                       
                                                                                                               

1.                                    신고납부세목의 신고오류로                            인한 경정시 과오납금이 발생하여 환급하는
    경우 환급가산금                            기산일을 납부일로 함

                           

  ○ 국세기본법상                            국세를 과오납 등의 사유로 환급할 때, 그 환급금에                            일정한 금액(국세환급가산금)을 가산하여 지급

 

                           

       ※                            현행 환급가산금 이율 : 100원에 대하여 1일 3전(연                            10.95%)

 

                           

  ○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 신고납부세목의 신고오류로                            인한 과오납을 환급시 그 가산금의 계산에 대하여

 

종     전

 

개     선

 

  국세환급가산금을                                        경정일부터 30일이 경과하는 날부터 기산

 

 국세환급가산금을                                        납부일의 다음날부터 기산함

 

                           

  <개선이유>

 

                           

  ○ 국고주의적                            해석을 납세자 편의위주로 개선

 

                           

    - 종전에는                            신고납부세목의 신고오류 등에 따른 과오납은 납세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것이므로 환급가산금의 기산일을 경정일부터                            30일이 경과하는 때로 해석

 

                           

    - 그러나                            납세자의 귀책 유무에 불구하고 국가는 납부일부터                            부당이득을 얻으므로 실제 납부일부터 환급가산금을                            기산하는 것으로 변경 해석

 

                           

   ☞ 국세기본법해석편람                            52-2-26 (손익의 귀속시기 적용오류로 인한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2.                                            상속세 등 당해 재산에                            부과된 국세채권은 당해세의 납세의무 성립이후
    설정된                            저당채권에 한하여 우선함

 

                           

  ○ 국세의                            법정기일(납세고지서 발송일 등)전에 전세권·저당권                            등에 의하여 담보된 채권은 국세에 우선하나

 

                           

     -                            상속세 등 그 재산에 대하여 부과된 국세(당해세)는                            법정기일에 관계없이 저당권 등에 의하여 담보된 채권에                            항상 우선

 

                           

  ○  납세자가                            재산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자금을 차입한 후 사망하여                            당해세인 상속세가 부과된 경우

 

종     전

 

개     선

 

상속세 등 당해 재산에부과된 국세채권은 모든 저당채권(A 및 B)에 항상 우선함

 

상속세 등 당해 재산에 부과된 국세채권은 당해세의 납세의무자가 설정한 저당채권(B)에만 우선

 

                           

 <개선이유>

 

                           

  ○ 대법원의                            판례를 수용

 

                           

    - 담보권                            설정자의 납세의무 중 담보권자가 예측할 수 있는 국세만                            우선하도록 함으로써 私法關係의 안정성을 도모

 

                           

  ☞ 국세기본법해석편람                            35-1-8 (당해세의 국세우선권 여부)
 

 

                       
                                                           
                                           

3.                                            사업자가 판매촉진                &n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