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07. (일)

세무 · 회계 · 관세사

[금감위] 유동화전문회사회계처리기준 제정

유동화전문회사회계처리기준 제정

 

 

 

주요  내용

 

  □  제정이유

 

    ㅇ  자산유동화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투자자(ABS 매입자 등)에게 유용한 투자정보 제공,  자산보유자가 매각대가로 받은 후순위채 등의 적절한 평가 및 감독목적에 필요한 회계정보  제공을 할 수 있도록 유동화전문회사회계처리기준을 제정(2000.7.21  금감위 의결 예정)함

 

 

 

  □  주요골자

 

    ㅇ  유동화자산, 유동화부채 및 관련 수익과 비용에 대하여 별도의 계정과목으로 분류하도록  하여 정보효과를 높이고

 

   ㅇ  현금흐름표는 직접법으로 작성하도록 통일하여 유동화전문회사의 영업내용이 투명하게  공시되도록 하였으며

 

   ㅇ  유동화증권으로서 출자증권을 발행한 경우에는 그 출자증권 1주당 순이익을 계산ㆍ공시하도록  하여 투자정보의 질을 제고함

 

 

 

  □  적용시기

 

    ㅇ  이 기준은 시행일 이후 최초로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함.  다만, 이 기준은  이 기준 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에도 적용가능

 

 

 

 ※  세부내용 : 붙 임

 

자료생산처  : 금융감독원 회계감독국 기업회계1과 (전화: 3771-6025, 6052)

 

             금융감독원  공보실(전화 3771-5788∼5791)

 

 

 

※  금융감독위원회·금융감독원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fsc.go.kr 과  www.fss.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세부내용]

 

 

 

 □  적용범위

 

   ㅇ  유동화전문회사는 재무제표 작성시에 이 기준을 적용하고, 이 기준에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함

 

 

 

 □  재무제표

 

   ㅇ  유동화전문회사의 재무제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  현금흐름표, 주기와 주석으로 함

 

 

 

 □  대차대조표의 계정분류

 

   ㅇ  자산은 유동자산, 유동화자산 및 고정자산으로 분류함

 

   ㅇ  부채는 유동부채, 유동화부채 및 고정부채로 분류함

 

   ㅇ  자본은 자본금, 유동화자본, 잉여금 및 자본조정으로 분류함

 

 

 

 □  영업수익 및 영업비용

 

  ㅇ  영업수익 및 영업비용은 유동화전문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의 결과에 따라 발생된 수익으로

 

 -  영업수익은 유동화자산이자수익, 유동화유가증권평가이익, 유동화자산운용수익, 유동화채권추심이익  등으로 하며

 

      -  영업비용은 유동화사채이자, 대손상각비, 감가상각비, 유동화자산처분손실, 지급수수료,  기타일반관리비 등으로 함

 

 

 

 □  유동화자산의 취득시 계상방법

 

   ㅇ  자산보유자로부터 취득한 유동화자산은 자산보유자의 당초 취득가액 및 대손충당금에  불구하고 유동화전문회사의 취득원가로 계상함

 

 

 

 □  현금흐름표

 

   ㅇ  현금흐름표는 직접법에 의하여 작성하며 현금흐름의 구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분 표시함

 

 

 

 □  주당순이익

 

   ㅇ  유동화증권으로서 출자증권을 발행한 경우에는 그 출자증권 1주당 순이익을 계산ㆍ공시하도록  함

 

 

 

 □  주석사항

 

   ㅇ  중요한 회계처리방침, 유동화자산의 평가기준 및 평가금액, 회수일정계획, 자산보유자로부터  취득한 채권의 액면가액 및 동 액면가액과 유동화전문회사의 취득원가와의 차이내역 등을  주석사항으로 기재함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