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29. (월)

기타

10년간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 20대만 1%대…전 세대 중 최저

최근 10년간 체감물가를 반영한 연 평균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유일하게 1%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9일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을 통해 최근 10년간 20대(만 20~29세)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를 기록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30대 3.1%, 40대 2.1%, 50대 2.2%, 60대 이상 5.2%였다.

 

실질소득 증가세도 둔화됐다. 20대의 과거 5년(2014~2019년) 연평균 증가율은 2.6%였으나, 최근 5년(2019~2024년)에는 연평균 1.1%까지 떨어졌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의 요인으로 고용 질적저하, 체감물가 상승을 꼽았다.

 

최근 10년새 20대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지고, 고용률도 57.4%에서61.0%로 늘어나며 양적 고용지표는 개선됐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늘어 고용의 질적수준은 저하됐다.

 

20대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최근 10년간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증가율이 낮았다. 같은 기간, 20대 명목 경상소득 증가율도 연 4.0%로 모든 세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상승했으나, 체감물가 상승률이 연 1.1%에서 2.8%로 뛰면서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

 

최근 5년(2019~2024년) 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ˑ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경협은 20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2022년 한국의 GDP 대비 전체 노동시장정책 지출규모(1.02%)는 OECD 평균(0.98%)을 상회하며 개선된 수치를 기록 중이나,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과 같은 양적 개선에 편중돼 있다. 이에 한경협은 고용훈련, 기업의 양질의 고용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경협은 또한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의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