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5년간 6천13건…작년에만 2천913건 달해
국세청, 작년 4천688건→올해 8월 6천539건 '쑥'
지난해 기획재정부와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급증한 가운데, 지난해 관세청에 대한 국내외에서의 해킹 시도가 5.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기획재정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8월) 기재부와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한국재정정보원에 대한 해킹 시도 탐지 건수가 6만566건에 달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국세청이 2만3천356건으로 가장 많았고, 통계청 1만8천400건, 조달청 1만408건, 관세청 6천13건, 기획재정부 1천259건, 재정정보원 1천130건 순이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지난해와 올해 해킹 시도 건수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획재정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577건, 국세청 4천688건, 관세청 2천913건, 조달청 3천240건, 통계청 4천192건, 재정정보원 587건으로 나타났다.
6개 기관 모두 해킹 시도가 늘어 2023년 대비 1.8배 증가했으며, 특히 한국재정정보원은 6.2배, 관세청은 5.7배나 증가했다.
올해도 8월까지 기획재정부 317건, 국세청 6천539건, 관세청 1천119건, 조달청 1천255건, 통계청 1천848건, 재정정보원 318건으로 해킹 시도가 있었다. 특히 국세청의 경우 올해 8월까지 해킹시도 건수가 6천539건으로 지난해(4천688건)보다 2천건 가까이 증가했다.
이들 6개 기관은 국내(1만4천488건)보다 국외(4만6천78건)에서 해킹 시도가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미국에서 해킹 시도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많은 해킹 시도가 있었지만 6개 기관 모두 실제 해킹까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국가의 재정은 물론 개별납세자들의 과세정보까지 다루는 등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다루는 기획재정부 소속기관들이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김영진 의원은 “최근 KT·롯데카드 등 민간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한 가운데 개인의 과세정보 등을 다루는 기획재정부 소속기관들도 해킹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해킹 방지를 위한 예산과 인력을 적극 투자해 철저하게 대비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