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2022년 8월 주택자금조달계획서 161만1천204건 분석
임대목적 주택 구매자금, 외부차입금 62.9%…자기자본 35.1% 불과
전세끼고 집 산 구매자 53.7%, 세입자 보증금 비중 집값 60% 이상 차지
연령별 갭투기 비중, 미성년자 47.2%, 20대 35.7%

최근 3년간 주택을 취득한 개인 구매자 10명 중 3명은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심상정 의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주택자금조달계획서 161만1천204건 중 개인 주택구매자 150만6천85명(연령 미상 제외)을 분석한 결과, 임대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한 매수자는 43만3천446명(28.7%)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24.7%), 40대(24.4%), 50대(19.9%) 순이었으며, 20대도 12.8%에 달했다.
□ 임대 목적 주택구매자의 연령별 숫자와 비율(단위 : 명, %)
연령 |
20세 미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세 이상 |
합계 |
구매자수 |
2,417 |
55,313 |
107,153 |
105,615 |
86,218 |
54,368 |
22,362 |
433,446 |
비율 |
0.6 |
12.8 |
24.7 |
24.4 |
19.9 |
12.5 |
5.2 |
100.0 |
각 연령별 임대목적 비율을 살펴보면, 미성년자가 88.5%로 월등히 높았고 뒤이어 20대 42.6%였다. 30대는 24.4%, 40대 27.8%, 50대 30.1%, 60대 30.2%, 70세 이상 25.7%였다.
특히 임대목적 구매자들은 2020년 상반기 4만1천719명에서 지난해 상반기 13만6천612명으로 1년새 227% 폭증했다.
이들이 구입한 주택의 평균 가격은 4억3천493만원으로, 가격대별 비중은 3억원 미만(50.2%)이 절반 가량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6억원 미만(26.6%), 6~9억원 미만(12.9%) 순이다. 9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 구매자도 4만4천411명으로 10.3%를 차지했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투기 수요가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산된 흐름이 명확했다. 2020년 상반기는 서울 아파트가 48%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으나,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는 경기·인천아파트, 지난해 하반기 비수도권 지역의 주택 매수가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늘어난 비수도권 주택 매매는 주택임대사업자에게 부여한 비수도권 3억원 이하 주택에 대한 취득세 50% 감면과 종부세 합산배제의 혜택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 임대 목적 주택구매자의 구매주택 가격 대비 세입자 보증금 비율(단위 : 명, %)
금액 |
0% |
40% 미만 |
40~60% 미만 |
60~80% 미만 |
80% 이상 |
합계 |
구매자수 |
48,111 |
71,642 |
80,659 |
111,481 |
121,553 |
433,446 |
비중 |
11.1 |
16.5 |
18.6 |
25.7 |
28.0 |
100 |
특히 임대 목적 주택구입자들은 구매자금의 3분의 2 이상을 밖에서 빌린 돈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주택구매자금 조달방식을 살펴보면 금융기관 대출이나 기존 세입자의 보증금 등 외부차입금이 62.9%를 차지했다. 특히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은 5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자본은 35.1%에 불과했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방식 중에서도 주택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의 비중이 80%를 넘는 ‘갭투기’는 12만1천553명으로 28%를 차지했다.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이 60~80%를 차지하는 경우도 11만1천481명(25.7%)에 달했다.
갭투기 매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강서구(5천910명), 충북 청주시(5천390명), 경기 부천시(4천644명) 순이다. 특히 서울 강서구에서 발생한 갭투기 5천910건 중 4천373건(74.0%)가 화곡동에서 발생했다. 강서구 화곡동은 2020년 하반기부터 갭투기 지역 1위를 차지해 깡통전세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부평구 부평동 1천659명, 인천 미추홀구 주안동 1천646명이었다.
□ 세대별 갭투기 수 및 비율(세대 내 임대 목적 구매자 대비)(단위 : 명, %)
|
20세미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세이상 |
합계 |
임대 목적 구매자수 |
2,417 |
55,313 |
107,153 |
105,615 |
86,218 |
54,368 |
22,362 |
433,446 |
갭투기 수 |
1,142 |
19,761 |
28,116 |
28,764 |
23,723 |
14,477 |
5,570 |
121,553 |
비율 |
47.2 |
35.7 |
26.2 |
27.2 |
27.5 |
26.6 |
24.9 |
28.0 |
연령별 갭투기 비중을 살펴보면 미성년자가 47.2%(1천142명), 20대가 35.7%(1만9천716명)으로 전연령 평균(28%)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갭투기자가 구입한 주택 유형별로 살펴보면 경기·인천 아파트(24.7%) 비중이 가장 높다. 서울 연립다세대(23.4%)와 경기·인천 연립다세대(23.4%)를 합한 수도권 연립다세대 비중은 46.8%로 절반에 육박했다.
심상정 의원은 “지난 2년 집값 상승기의 30% 가량은 실수요가 아닌 투자 수요였다”며 “특히 세입자의 임대보증금에 80% 이상을 의존하는 갭투기 매수자가 10만명 이상 주택 시장에 뛰어들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