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코스피200 기업 감사위원회 분석 결과
코스피200 기업 중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6년 이상의 장기 재직한 감사(위원)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가 29일 발간한 보고서(2022 감사위원회 아웃룩 Vol.4)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200 기업 중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기업은 173개(86.5%)로, 2019년 162개(81.0%), 2020년 167개에 이어 꾸준히 늘어났다.
지난 2020년 12월 개정된 상법에 따라 상장회사 사외이사는 해당 회사에서 최대 6년, 해당 회사와 계열회사 합산해 최대 9년까지만 재직할 수 있다.
재직기간이 6년을 초과하는 감사위원은 27명(5.0%)으로 전년 46명(8.5%) 대비 19명(3.5%p) 감소했다. 코스피200 감사위원의 평균 재직기간도 2.6년으로 전년(2.8년) 대비 0.2년 감소했다.
개정 상법에 따라 감사위원 분리선임제가 시행돼 상장회사는 주총에서 감사위원회 위원 중 1명을 다른 이사들과 분리 선임해야 하는데, 코스피200 기업내 2021회계연도에 감사위원을 신규 또는 재선임한 기업은 126개로 이중 123개사(97.6%)가 분리 선임했다. 지난해 선임된 감사위원은 총 260명이며 분리 선임된 감사위원 수는 124명(47.7%)이다.
또 올해 8월부터 시행된 개정 자본시장법에 따라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상장회사는 이사회의 전원을 특정 성(性)으로 구성할 수 없는데, 지난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회사의 전체 등기이사는 1천379명으로 이중 여성 등기이사는 120명(8.7%)에 불과했다. 기업당 여성 등기이사는 0.62명 수준이다.
코스피200의 감사위원 563명 중 여성은 56명(10.0%)이며, 전년 25명(4.6%) 대비 5.4% 증가했다.
또 코스피200 기업의 감사위원회 안건(3천293건)을 분석한 결과, ‘외부감사인 감독(23.7%)’,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독(19.6%)’, ‘재무감독(19.0%)’이 가장 많은 안건 유형으로 집계됐으며, ‘내부감사 감독(16.5%)’도 전년 대비 가장 큰 증가폭(3.4%)을 보였다.
특히 ‘내부감사 감독’은 2019년 신 외부감사법 시행 이래 매년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또한 지난해 국민연금기금이 감사(위원) 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의결권을 행사한 비율은 14.4%(86건)로 전년 9.8%(77건) 보다 약 5%p 증가했다. 이중 ‘회사와의 거래관계나 기타 이해관계로 인한 독립성 취약’이 반대 사유인 비중은 45.4%로 과반수에 달했다.
‘감사위원회 아웃룩’은 지난 2019년 업계 최초로 발간한 이래 매년 코스피200 기업의 감사위원회 현황을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