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0일자로 시행…국민안전·수출입지원에 방점 두고 본청·일선세관 개편
국민안전 고려해 통관·감시업무 통합…국제협력·기업지원업무 일원화
공공데이터 개방·중장기 관세국경 감시 장비 개발 한곳에서 수행
관세청내 공항만 수출입현장을 지원하는 통관부서와 국경감시역을 수행하는 감시부서가 통합된다.
이에 따라 종전 본청내 조사업무와 감시업무를 한데 수행해 온 조사감시국이 관세조사업무로 특화된 조사국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기존 통관업무에 더해 감시업무를 새롭게 부여받은 통관지원국은 통관국으로 명칭이 통일된다.
본청 정보협력국 또한 각국의 관세·비관세 조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제관세협력국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해당 국에서는 기존 FTA집행기획관실에서 수행해 온 기업지원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기존 FTA집행기획관은 정보데이터정책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수행하는 업무 또한 관세무역데이터의 개방과 거래·유통환경의 조성 및 세관현장 맞춤형 신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관세청 조직을 20년만에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하는 ‘관세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일부개정령안’이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관세청은 이번 직제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국민안전 강화 △수출입기업 지원 △관세행정 지능화 등 3대 목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이달 30일자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0년 이후 20년만에 관세청 조직을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하는 이번 조직개편은 ‘수출입현장에서의 통관과 감시업무 연계’, ‘대외협력·기업지원업무 통합’, ‘데이터·신기술활용 컨트롤타워 구축’ 등이 핵심 키워드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충격을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 기존 기구 및 정원내에서 조직을 자체적으로 재설계했다.

노석환 관세청장은 “국민안전과 수출입기업 지원에 대한 요구, 데이터경제 등 오늘날 관세행정을 둘러싼 외부여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상황에서 백신·방역물품을 비롯한 긴급물품은 신속통관하고, 중소기업은 글로벌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등 초국가적 위기의 조기극복과 경제활력 되살리기에 이번 조직개편을 동력삼아 관세청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관세청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통합되는 직제와 병행해, 수출입기업과의 정보공유·협력을 기반으로 성실신고를 지원하고 무역기반 자금세탁 범죄, 사회안전을 위협하는 마약범죄 등에 엄정대응하기 위해 심사 및 조사분야 개편도 병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