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가 1962년 창립 후 54년 만에 은행 업무를 분리시키는 사업구조개편을 단행했다.
중앙회는 1일 서울 송파구 수협청사에서 '신(新)수협 출범식'을 개최하고 은행과 판매유통 조직을 이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에 따라 수협은 어민 지원과 수산물 판매·유통 부문에 집중하고, 은행 조직은 자회사로 독립하는 수협은행에 맡긴다.
중앙회는 유통, 판매, 수출 관련 기능을 전문화하는 동시에 현재 연 460억원 수준인 어업인 교육지원규모를 오는 2021년까지 1000억원대로 2배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
또 5년 내 산지거점유통센터(FPC)를 20개소까지 늘리고, 소비지분산물류센터도 5곳 신설해 유통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독립하는 수협은행의 내실도 다진다.
현재 700억원대 수준의 세전당기순이익을 오는 2021년까지 1700억원대로 끌어올리기 위한 '3단계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5년 뒤 수협은행을 자산규모 35조의 우량 중견은행으로 육성하는 게 목표다.
김임권 중앙회장은 "사업구조개편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하면 어민과 수산업을 위해 수협이 연간 2000억원 이상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며 "새로운 지원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마련되면 대한민국 수산업의 판도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회장을 비롯해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과, 홍문표 새누리당의원, 곽범국 예금보험공사 사장,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 전국 수협조합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