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을 위해 종교계, 지역사회, 시민사회,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인식·문화 개선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후속조치의 하나로 종교계, 지역사회, 시민사회, 정부가 함께 하는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갖는다고 19일 밝혔다
협의체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서울시 등 17개 시·도를 비롯해 한국인구보건복지협회, 한자녀 더 갖기 운동연합, 대한노인회 등 시민단체, 인구와 미래 정책연구원, 한국교원대학교 등 교육단체, 7대 종단이 함께 한다.
이들은 결혼, 임신·출산, 양육 등 단계별로 캠페인을 벌인다.
결혼과 관련해서는 부부 중심 결혼문화 확산과 고비용 결혼문화 개선에 방점을 찍고 임신·출산 분야는 기업과 사회의 임산부 배려 문화 확산에 집중한다.
양육은 일·가정 균형의 근본적 장애요인인 장시간 근로 개선, 남성의 가사육아분담문화 확산, 명문대 보내기에 집중된 양육·교육문화 개선을 주제로 한다.
특히 올해는 인구의 날(7월11일)을 인구 주간(7월9~17일)으로 확대해 전사회적 협력을 도모하는 다각적 노력을 전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