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10명중 6명은 업무상 바빠 재난 의무교육을 수강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민안전처가 한세대에 의뢰해 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122명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훈련·교육 및 민관협력 인식'을 조사한 결과다.
오는 16일 세월호 참사 발생 2주기를 앞두고 있지만 현장 곳곳에서 재난교육은 여전히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공무원의 61%가 재난교육 저해 요인으로 '바쁜 업무'를 꼽았다.
'재난교육에 대한 정보 부재'라고 밝힌 비율은 10%였다.
'수강할만한 적절한 교육이 없어서'나 '교육 비용이 부담스러워서'라고 답한 공무원도 각각 5%, 3%나 됐다.
지자체 공무원의 연간 재난교육 횟수는 '2~3회'(41%)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고작 1회 재난교육을 받았다는 답변은 두번째로 높은 22%였고, 단 한 번도 교육을 수강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7%나 됐다.
'3~5회'라는 답변은 17%이었고 '5~10회'와 '10회 이상'을 꼽은 공무원은 각각 9%, 4%였다.
연중 재난교육을 수강한 적 있다고 밝힌 공무원들의 교육 시간은 '연 15시간 이상'(39%)이 가장 많았다. '5~10시간'(25%), '10~15시간'(12%), '3~5시간'(9%)이 뒤를 이었다.
재난교육을 수강한 이유로는 전체의 45%가 '규정상 이수해야만 해서'라고 답했다.
'규정에는 없으나 단체의 권유 또는 명령(11%)'이라고 답한 비율까지 합하면 공무원의 절반 이상이 재난 교육을 자신의 의지에 관계없이 억지로 수강하고 있는 셈이다.
'규정에는 없으나 업무상 필요해서'라는 응답은 25%였고, '관심분야라서'라고 밝힌 공무원은 겨우 16%뿐이었다.
공무원들은 재난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 정보의 원활한 제공'(39%)을 1순위로 지목했다. '교육 수료 후 혜택 제공'(36%)이나 '교육비 지원'(16%)을 꼽은 공무원도 상당했다.
또 대부분의 공무원들(98%)은 재난관리에 있어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73%(89명)은 '매우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의무 재난교육 조차 제대로 수강하지 않으면서 민관 협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시민 참여 의식'(39%)을 꼽았다. 민간단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7%가 나온 것과 대비된다.
뒤이어 '행정·재정적 지원 미비'(13%), '전문성 부족'(10%), '민간단체간 이질성'(5%), '의사소통의 비원활화'(3%)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