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세종청사 이전 이후 직원간 의사소통이 줄고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화상회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세종 이전 후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업무 효율화, 직원 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조직문화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기재부는 직원들의 근무 공간이 서울과 세종으로 분리되면서 내부 의사소통이 줄어들고 민간 전문가와 접촉 기회가 적어진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기재부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상회의를 적극 활용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5월 초까지 정부서울청사, 국회, 세종 지역의 화상회의 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또 간부가 직원들을 지도하는 기회가 적어지면서 보고서의 질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로 꼽혔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국·과장이 원칙적으로 세종에 체류하면서 직원들의 보고서 작성을 직접 지도하는 도제식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불가피하게 출장을 갈 경우에는 화상보고를 활용해 직원들을 교육하도록 했다.
또 직원들의 정책 능력을 키우고 전문가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전문 연구기관과의 포럼을 주기적으로 열고 컨퍼런스, 세미나 등의 참석을 적극 독려하기로 했다.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학습동아리도 경제· 사회 현안에 초점을 맞춰 토론·세미나 형태로 운영해 나가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화상회의 이용 실적을 내부 성과평가에 반영하고 반기별로 업무 효율화, 직원 역량 강화 분야의 우수실국을 선정·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향후에도 민간기업 사례 연구, 타 정부부처 사례 연구, 직급별 간담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 과제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