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기업에서 5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은 등기임원은 748명으로 집계됐다.
1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2015회계연도 결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643개사의 등기임원 보수내역을 집계한 결과 5억원 이상 보수(급여, 퇴직금, 스톡옵션, 기타근로소득 포함)를 받은 경영인은 748명이었다. 이는 전년대비 720명보다 3.9%(28명)이 늘어난 수치다.
이중 자산 상위 10대그룹의 현직 또는 퇴직 임원은 192명으로 전체의 24.5%를 차지해 4명 중 1명꼴이었다.
그룹별로는 삼성그룹이 49명(6.3%)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차그룹이 29명(3.7%), SK그룹이 26명(3.3%), LG그룹이 22명(2.8%) 등 이른바 4대그룹 출신 전, 현직 임원이 126명(16.1%)에 달했다.
뒤를 이어 GS그룹이 17명(2.2%), 포스코그룹이 16명(2%), 롯데그룹이 15명(1.9%), 한화그룹이 12명(1.5%), 현대중공업그룹이 4명(0.5%)이었으며, 한진그룹은 5억원 넘는 보수를 받은 등기임원은 2명(0.3%)으로 가장 적었다.
조사결과 지난해 가장 많은 보수(퇴직금 제외한 순수 근로소득 기준)를 받은 현직 경영인은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었다.
권 부회장은 지난해 삼성전자에서 149억5천400만원을 받아 전년의 93억 8천800만원보다 59.3%(55억 6천600만원) 증가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98억원으로 2위,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이 80억9천500만원으로 3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64억1천75만원으로 4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58억322만원으로 5위였다.
이어 정몽원 한라그룹 회장이 55억8천634만원,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53억4천800만원,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48억1천8만원이었다.
류기덕 위메이드 이사는 보수총액 55억 4천800만원을 기록했지만, 스톡옵션으로 취득한 회사주식을 처분해 벌어들인 수입이 51억 9천600만원을 차지해 순수 근로수입은 3억 5천200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