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글로벌 기업들이 전 세계 과세 기준 강화에 세금 폭탄으로 인한 수익악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지난해 세금폭탄으로 인한 재무 리스크를 투자자들에게 경고한 글로벌 기업은 136곳에 달했다. 이는 2014년보다 두 배 이상의 규모이다.
'세금폭탄 리스크'가 고조된 이유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케이맨제도 등 '조세회피처'를 통해 자국 국세청에 정확한 수익을 알리지 않고 세금 납부를 회피해온 사실이 공분을 사면서 글로벌 기업에 대한 과세기준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매년 2400억달러(약 280조4400억원)에 달하는 세금이 조세회피처를 통해 빠져나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OECD가 지난해 7월 다국적 기업의 국제적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공조로 자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기업의 경영정보와 거래관련 사항을 보고서로 제출받는 BEPS(세원잠식과 소득이전) 프로젝트를 도입하면서기업들의 '세금폭탄 리스크'는 더욱 심화됐다.
특히 구글과 페이스북의 경우 올해 초 추가 과세 대상으로 거론된 바 있다. 이 밖에도 링크드인과 야후 등 첨단기술업체들에 과세 리스크가 집중되고 있어, 이에 대해 미국에서 투자 경고를 공시한 기업 중 5분의 1이 기술기업들이었다.
기업들이 BEPS 등으로 인한 세금 리스크에 대해 경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FT는 영국에서만 과세 강화로만 기업 실적을 매년 10억파운드(약 1650억원) 잘라낼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한 기업들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UN PRI(유엔책임투자원칙)의 피오나 레이놀즈 대표는 "투자자들은 아직도 과세 강화로 인한 여파에 대한 올바른 질문을 못하고 있다"며 "아직 조세 이슈를 이해하는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