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올해 산업·기업 구조조정에 시동을 걸고 있다.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3시 지방은행을 포함한 시중은행 구조조정 담당 부서장들을 모아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 방향에 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대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올해 신용위험평가 일정, 강화된 기준 등에 관한 내용이 다뤄질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이 바뀌었기 때문에 과거와 다른 점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신용위험평가가 강화된 부분에 대한 내용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금융감독원은 매년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선정한다. 평가 결과 C등급을 받으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 대상, D등급을 받게 되면 회생 가능성이 없다는 판단 아래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된다.
지난해 당국은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54곳과 중소기업 175곳을 선정했고, 기업 50여 곳에서 워크아웃 또는 자율협약이 진행 중이다.
올해 신용위험평가는 부실 우려가 있는 기업 범위를 늘려 기존 대비 밀도 있게 진행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9일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잠재적 부실 위험이 높은 기업의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신용위험평가는 기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자보상배율 등뿐만 아니라 완전자본잠식 기업, 취약 업종 기업 등이 포함되고 재무지표 이외에도 산업과 영업, 경영상 위험 요소 등도 고려해 진행된다.
아울러 당국은 현재 주채무계열 선정 작업에 들어갔고, 이를 토대로 4월말까지 재무구조평가도 진행할 방침이다.
당국과 시장은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보다 신용위험이나 재무 건전성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강화하고 대내외 상황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보겠다는 것이 당국의 방침이다.
오는 18일 시행될 기촉법에 따르면 워크아웃 대상 기업의 적용 범위가 대출, 어음 및 채권매입, 금융업자의 시설대여 등을 포함한 총신용공여액 30억원 이상 기업으로 늘어난다.
채권단 범위도 회사채를 보유한 모든 금융회사로 확대하면서 산업 전반, 특히 취약 업종을 중심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금융위는 4월말까지 기촉법 시행령·감독규정 등 하위법령을 마련할 계획이다.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은 7월초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