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비율이 높은 기업의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보다 좋지 않다는 실증회귀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5일 발표한 2014년 말 기준 자산총계 2조원 이상 비금융업 상장사 95곳의 '사외이사제도와 기업경영성과 분석' 자료를 보면, 평균 등기임원 수는 8명이고 이 중 사외이사 수는 평균 4.7명(59.4%), 사외이사 평균근속 기간은 2.8년이었다. 현행 상법은 자산총계 2조원 이상 기업에 전체 이사 중 사외이사를 과반수 또는 3명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사외이사 비율과 기업경영성과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은 회귀분석결과 마이너스(-)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비율이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좋지 않은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에서도 상장사 95곳의 평균 총자산이익률은 1.8%였는데 사외이사 비율이 평균(59.4%) 이상인 42곳의 ROA는 –0.08%, 사외이사 비율이 평균 미만인 53곳의 ROA는 3.18%였다.
사외이사 근속 기간과 기업경영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즉 사외이사 근속기간이 길거나 짧은 것이 기업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은 주는가는 판단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사외이사비율과 외국인 주식보유비율 관계는 사외이사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외국인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철행 전경련 기업정책팀장은 "지난해 OECD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사외이사 규제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사외이사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경영성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며 "19대 국회에서 사외이사 비율을 높이거나 규제대상을 확대하려는 법안이 여러 건 계류됐는데 규제를 강화하기보다는 사외이사 풀 확대,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 제고와 발언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